설립추진위원회 결성…시민 서명운동·집회 열기로
경산 지역에 장애인들의 직업 재활과 자립생활을 돕는 장애인근로작업장이 시급하다는 요구가 거세게 일고 있다.
(사)경북지체장애인협회 경산시지회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근로사업장을 세워 줄 것을 경산시에 요구했다.
경산지역에만 장애인 1만4천여 명이 거주하고 지체장애인만 6천200여 명에 달하는데도 직접 재활을 위한 장애인근로사업장이 단 한 곳도 없다는 것.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전국 장애인근로작업장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전국 장애인근로작업장은 55곳이지만 경북에는 안동 2곳과 포항 1곳 등 3곳에 불과하다.
장애인근로작업장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로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최저임금 이상 임금을 지급하는 근로자 30인 이상 고용 시설이다. 장애인들은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보호 가능한 조건에서 기술을 배우고 소득을 보장되며 이후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다.
장애인근로작업장의 설립 요구가 거센 이유는 장애인을 의무고용하는 사업장은 많지만 제대로 된 근무 여건이 마련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최저 임금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다 장애인 취업 희망자와 연계되거나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업무 배치 등이 이뤄지지 않아 장기 근무가 드물다는 것. 고용주의 사회적 편견과 장애인들의 막연한 직업관도 취업의 불안요소가 되고 있다. 장애인 관련단체들은 정부가 추진 중인 장애인 일자리 제공 사업들이 장애인들의 취업 고충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산시의 경우 경북지체장애인협회 경산시지회에서 지역 기업과 연계한 일자리 사업과 직업 소개를 추진하고 있지만 작업공간과 전문 프로그램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장애인근로사업장 설립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결성하고 시민 서명운동과 집회를 통해 관계기관에 사업장 설치를 요구할 방침이다. 또 일반 작업환경에서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적합한 생산품목을 개발하고 지역 기업과 연계해 여러 모형의 일자리를 개발하겠다는 것. 이를 통해 다수의 장애인들이 최저임금 수준의 유급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단체 류중호 지회장은 "장애인들이 인큐베이터에서 보호받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한다"면서 "왼손이 불편한 사람이 오른손이 불편한 사람과 같이 일할 수 있는 직업 프로그램 개발과 취업기회 제공을 통해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산'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