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불황에 은행 휘청…금융 부실채권 약 25조원

입력 2013-08-09 09:55:09

기업대출 못돌려받을수도…다른 대출 줄이면 악순환

조선업 불황여파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 2/4분기말 국내은행 부실채권비율이 지난 2011년 6월 말(1.7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6월말 현재 국내은행 부실채권비율은 1.73%로 1분기 말(1.46%) 보다 0.27%포인트 올랐다고 8일 밝혔다.

부실채권 규모는 24조9천억원으로 1분기 말(20조5천억원) 보다 4조4천억원 늘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1분기 16조7천억원에서 2분기 21조3천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가계와 신용카드 부문은 1분기 말보다 각각 1천억원씩 줄었다. 은행들이 기업에 빌려준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여건이 더욱 악화됐다는 뜻이다.

2분기에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10조7천억원으로 1분기(5조6천억원) 대비 5조1천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9조4천억원으로 전체의 87.6%에 달한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도 2.22%로 1분기 말(1.79%) 대비 0.43%포인트 상승하며 2011년 2분기(2.3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조선업 등 일부 경기민감 업종의 잠재부실이 현실화한데다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로 구조조정 대상이 확정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단행된 구조조정으로 금융권이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 규모는 6천80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은행들은 이 기업들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2분기 장부에 반영했다. 대손충당금은 대출을 받은 기업이나 개인이 자금난 등으로 부실해지면 돌려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해 준비하는 돈이다. 충당금이 늘면 은행의 순익도 줄게 된다.

구제적인 업종별로는 조선업 부실채권 비율이 1.83%에서 6.86%로, 해운업이 1.65%에서 6.59%로 크게 상승했다.

반면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2분기 말 0.74%로 1분기 말(0.78%) 대비 0.04%포인트 하락했고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0.70%)도 1분기 말(0.72%) 대비 0.02%포인트 내려갔다.

금융감독원은 부실채권 비율이 크게 늘었지만 조선업종 등 잠재부실 현실화 요인을 빼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 중국 성장세 둔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부정적 요인이 여전하다"며 "은행들이 충당금을 충분히 쌓도록 하고 이미 부실화한 채권은 조기 상·매각을 유도해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은행의 부실이 실물경제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해 대책마련에 나섰다. 은행에 부실채권이 많아지면 기업에 대출을 해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광준기자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