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주민센터 복지허브 만든다

입력 2013-08-05 09:56:32

경북도내 12곳 시범 운영…찾아가는 맞춤 복지서비스

경상북도는 주민센터의 복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복지허브화 사업을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경북도는 5일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은 도내 주민센터 12곳을 복지허브화 시범 운영기관에 선정했다. 내년 10월부터 정부가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개인별'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정책 도입에 앞서 선제적으로 도입되는 것. 시범운영기관은 포항시 송도동과 경주시 성건동, 김천시 자산동, 안동시 평화동, 구미시 송정동, 영주시 가흥1동, 영천시 서부동, 상주시 남원동, 문경시 점촌 5동, 경산시 서부 2동 등 시 지역 10곳과 울진군, 울릉군 등 군 지역 2곳이다.

주민센터 복지허브화 사업은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들이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지역 주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복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사업이다. 그동안 정부 전체 292개 복지 사무 중 67%가 시'군 및 읍'면'동에 집중된 반면 복지인력은 확충되지 않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공급자 위주의 복지서비스로 인해 주민들의 복지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시범운영 기관은 상담 위주였던 기존 동 주민센터와 달리 개인별로 복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찾아가는 맞춤 복지서비스와 위기 가정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북도는 동 시범운영 기관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방세, 건설, 청소, 교통행정, 민방위 등의 업무를 시'군 본청으로 이관하고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비 2억 4천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범운영 기관의 사회복지 업무수행 인력도 39명에서 69명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방문간호사와 통합사례관리사, 일자리 상담사 등을 주민센터에 배치해 주민 건강상담 및 고용 연계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도시형인 시 지역은 행복나눔통장 개설과 행복의 사랑고리사업, 동정순찰대 운영, 복지만남플라자 운영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복지허브화 사업을 추진한다. 군 지역인 울진군과 울릉군에서는 지난해 5월 출범한 희망복지 지원단의 인력을 보강하고 분소를 운영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정강수 경북도 보건복지국장은 "시범 운영기관을 통하여 동 주민센터의 주요기능을 일반행정에서 복지행정으로 전환을 시험해 보고 우수사례 중심으로 단계적 확대 시행해 도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