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와 경북대의 학내 분란이 심각하다. 2011년, 17년 만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관선 이사가 철수한 대구대는 2년이 다 되도록 학교 정상화를 이루지 못했다. 1994년 비리 등의 문제로 물러난 구 재단과 이에 반대하는 신 재단의 대립 때문이다. 신 재단 측은 새로 임명된 7명의 이사 가운데 4명의 지지를 얻었으나, 신 재단을 지지한 황수관 이사가 지난해 12월 타계하면서 후임 이사 선출을 두고 다시 맞붙었다. 이사 선출에 관한 교과부의 유권해석과 이사 선출이 지지부진하면 행정 조치를 하겠다는 경고까지 받았지만, 구 재단 측은 교과부의 유권해석이 잘못됐다며 법원에 제소할 움직임이다.
경북대는 총장직선제가 관건이다. 경북대는 교과부의 구조 조정과 지원금 압박으로 지난해 7월 학칙을 개정해 총장직선제를 폐지했다. 그러나 교수회가 지속적으로 반발 중이다. 경북대 교수회는 20일까지 총장직선제 유지가 주 내용인 '총장'학장 임용 관련 학칙'규정의 제'개정'에 대한 교수 찬반 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투표 결과에 따라 교수회는 총장직선제로의 환원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 문제는 대학 자율화라는 대의(大義)와 교육부의 국립대학 구조 개혁 및 지원금이라는 현실이 맞물려 있다.
대구대와 경북대의 현 사태는 수많은 회의와 대화에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오히려 서로 불신만 깊어진 결과다. 이 사태를 보는 대구 시민을 비롯한 외부의 눈길은 차갑다. 학교 발전이 아니라 학교 운영의 주도권 싸움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대는 지난 17년 동안 관선 이사 파견이라는 극약 처방을 받고도 아직 정신을 못 차린 셈이다. 대구대와 경북대는 현재 지방대가 처한 어려움을 냉정하게 봐야 한다. 양보와 타협으로 학내 분란을 빨리 매듭짓고, 구성원의 모든 힘을 오직 학교 발전에만 써야 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