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는 그리워하는 나무에게로 갈 수 없어
애틋한 그 마음을 가지로 벋어
멀리서 사모하는 나무를 가리키는 기라
사랑하는 나무에게로 갈 수 없어
나무는 저리도 속절없이 꽃이 피고
벌 나비 불러 그 맘 대신 전하는 기라
아아, 나무는 그리운 나무가 있어 바람이 불고
바람 불어 그 향기 실어 날려 보내는 기라
-제25회 수상작(2013년)
정희성 시인의 주머니엔 늘 습작 원고가 들어 있다. 사람들을 만나면 시를 꺼내어 낭송하고 더러 의견을 듣기도 한다. 몇날 며칠을 마음에 들 때까지 삶의 현장에서 퇴고를 거듭한다. 신경림 시인은 습작을 벽에 붙여 놓고 그 앞을 오갈 때마다 읽어보고 첨삭을 한다. 정성된 퇴고는 태작을 낳는 법이 거의 없다. 퇴고는 화장을 하는 과정이 아니라 화장을 하나하나 지워가는 과정이다. 감동의 순간을 가장 근접한 지점-맨얼굴-까지 드러내는 과정이 퇴고다.
2010년 봄이었을 것이다. 정시인이 안동으로 여행 왔을 때 나는 술잔이 오가는 자리에서 이 시를 직접 들었다. 저음이지만 따사로운, 차분하지만 결기 있는 시인의 목소리로 이 시를 듣고 큰 감동을 받았다. 그 때는 물론이지만 이 시를 처음 발표하던 2010년 가을에도 도입부에는 "사람은 지가 보고 싶은 사람 있으면/그 사람 가까이 가서 서성대기도 하지"라는 표현이 있었다. 어느 시낭송 자리에서 김남조 시인이 이 시를 듣고는 앞의 두 줄을 빼면 아주 훌륭한 시가 될 것 같다는 의견을 냈다. 정시인은 곧장 알아듣고 이렇듯 군더더기 없는 감동의 맨얼굴을 얻은 것이다. 살갑고 겸허한 노시인들의 수작이 맨얼굴로 아름답다.
시인 artandong@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