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도 내 대형 공연장, 제 역할 찾아야

입력 2013-02-08 11:22:38

경북도 내 대형 공연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724억 원을 들여 지은 경주 예술의 전당 대공연장은 지난해 공연 일수가 105일이었고, 495억 원을 들인 안동 문화예술의 전당은 30일에 지나지 않았다. 지자체는 두 곳을 모두 임대형 민자 사업으로 건설했기 때문에 매년 경주시는 65억 원, 안동시는 40억 원을 20년 동안 민간 업체에 지급해야 한다. 여기에다 연간 20억 원에 이르는 인건비와 운영비를 포함하면 지자체의 부담은 더욱 늘어난다.

현실적인 수요나 장기적인 운영 계획 없이 무리하게 대형 공연장을 건설한 것은 이를 주요 치적으로 생각하는 민선 자치단체장의 욕심 때문이다. 각각 26만, 16만 명인 경주나 안동의 도시 규모로 볼 때 이에 걸맞은 공연장은 필요하다. 그러나 수요에 대한 철저한 분석 없이 무조건 크고 호화롭게 짓다 보니 건설비가 많이 든다. 두 곳 모두 대공연장 객석이 1천 석을 넘는다. 인구가 250만 명이 넘는 대구에서도 1천 석에 이르는 객석을 채우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경주 예술의 전당 건립 때 반대 여론이 많았지만, 시장이 밀어붙였다. 안동도 이와 비슷하다. 이는 대형 운동장이나 호화 체육관 건설과 함께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나타난 대표적인 폐해 사례다.

중소 도시에서 대형 공연장을 살릴 방법은 마땅하지 않다. 반면, 전국의 모든 대형 공연장이 적자에 시달리는 현실에 비춰본다면 공연장 운영 방향을 '시민 자부심 살리기'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비슷한 처지인 구미, 포항 등 경북도 내 공연장뿐 아니라 대구와 서울 공연장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양질의 작품을 올릴 방법을 찾아야 한다. 또한 다양한 시민 밀착형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열린 문화 공간으로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