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직개편, 중앙 공무원들 희비… 촉각…

입력 2013-01-30 07:01:21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정부 부처 개편 발표 이후 공무원들 사이에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세종시로 이전되는 인사들은 고개를 떨구고 있지만 서울에 잔류할 가능성이 큰 부처 직원들은 한숨을 돌리고 있다.

부처 개편안에 가장 실망한 부처는 외교부다. 이들 가운데서도 통상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서서히 짐을 싸야 할 형편이다. 외교통상부에서 지식경제부 소속으로 바뀌게 된 통상교섭본부 소속 150여 명은 개편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이전과 함께 올해 말 세종시로 내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신분도 외교관에서 행정공무원으로 바뀌면서 외교관용 여권까지 반납해야만 한다. 특임장관실 역시 특임장관제 폐지와 함께 세종시에 있는 국무총리실로 가게 돼 같은 처지에 놓였다.

세종시로 내려간 국토해양부 소속 공무원 중 일부는 해양수산부의 부활과 함께 또 짐을 싸게 됐다. 아직 부지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250여 명에 달하는 해양 관련 공무원들은 연일 나오는 해양수산부 부지 선정 예측 기사에 마음을 졸이고 있다.

이번 정부조직 개편에서 가장 주목받는 부처 중 하나인 미래창조과학부(신설)의 경우도 새로운 정부 구성안에 당혹스럽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세종시로 갈 것이라는 관측이 높은 가운데 이관되는 업무를 맡은 1천300여 명의 공무원들 역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만 바라보고 있다.

300여 명의 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공무원과 1천여 명의 중앙전파관리소 소속 공무원들은 벌써 세종시 전세를 알아보고 있다.

반면 부처 개편 소식에 웃는 이들도 있다. 안전행정부로 개편될 행정안전부로 편입되는 공무원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세종시에 내려가 있던 이들은 개편안 확정과 함께 서울로의 회귀소식만을 기다리고 있다

한편, 정부부처 산하기관들의 희비도 엇갈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최근 선박안전기술공단 신청사 건축을 허가했다. 국토해양부 산하 공공기관인 선박 공단은 현재 인천시 연수구에 있으며, 약 250명의 직원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검사업무를 하는 기관이다. 행복청이 지난 2011년 세종시에 유치한 첫 번째 공공기관이다.

하지만, 해수부가 이전하면 패키지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 일단 공단 이전 활동을 최대한 지연하면서 사태변화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농림수산식품 교육문화정보원도 최근 세종시 이전에 속도를 냈으나 식품 분야 쪽이 어느 부처로 편입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사태 변화 추이를 관망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축산물품질평가원(현재 경기 군포 소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정부의 부처 개편은 시작단계에서의 혼선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행안부는 지난 정부에서 행정자치부였다가 5년 만에 또 이름을 변경함에 따라 예산 낭비요소가 많다. 상징적 차원에서 이름을 바꾸고, 경찰청과 소방방재청의 인력을 충원할 뿐 조직의 기능이 크게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부처 명칭 변경으로 로고뿐 아니라 '행정안전부'라고 쓰여 있는 현판 정부 기안용지부터 시작해 서류, 명함 등 모든 것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앞서 2008년 행안부는 슬로건을 바꾸는 데 수천만원을 사용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