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에 잇단 대형시설물…난개발 논란

입력 2013-01-15 10:17:06

구미시 "관광객 볼거리 확충"

구미시가 금오산 도립공원 내에 역사문화디지털센터 등 대형 시설 건립을 추진해 난개발이란 지적이 나오고있다. 경북도환경연수원 내에 들어서는 친환경탄소제로교육관 조감도. 구미시 제공
구미시가 금오산 도립공원 내에 역사문화디지털센터 등 대형 시설 건립을 추진해 난개발이란 지적이 나오고있다. 경북도환경연수원 내에 들어서는 친환경탄소제로교육관 조감도. 구미시 제공

구미시가 2016년까지 금오산도립공원 안에 역사문화디지털센터를 비롯해 각종 대형시설물 건립을 추진해 난개발 우려를 낳고 있다.

시는 올해부터 2016년까지 228억원을 들여 채미정 주변 9만9천㎡에 단층 한옥으로 구미 출신의 역사적 인물을 재조명하는 역사관, 전시관, 성리학관련 교육시설, 영상홍보관, 편의시설 등을 갖춘 역사문화디지털센터를 건립기로 했다.

시는 같은 기간 180억원을 들여 야은 길재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채미정 주변 3만6천여㎡ 부지에 입체홍보관, 야은사상체험관, 문적전시관(고전 서적 전시), 성리학해설도회관 등을 건립할 방침이다.

시는 또 이달부터 올 연말까지 금오산 경북환경연수원 내 6천여㎡에 109억원(국'도비 65억원 포함)을 들여 신재생에너지를 체험하고 기후변화 대응 교육을 할 수 있는 친환경탄소제로교육관을 지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내년 말까지 30억원을 들여 금오산 입구에 아치형의 상징물 건립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대형 건물들이 잇따라 들어서면 영남팔경 중의 하나인 금오산의 자연환경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김성현 구미시의원은 "시가 추진하는 시설 가운데는 중복투자 되는 부분들이 많다"면서 "많은 돈을 들여 벌이는 사업들이 금오산의 난개발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문화유적지를 새롭게 단장해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며 "이미 확보된 국'도비 등의 반납은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