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상황 온 오페라하우스, 재단법인화로 가야"

입력 2013-01-11 07:27:30

대구 문화 인프라 운영 용역 보고…시민회관, 문예회관 산하 이관 등 제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9일 대구의 문화인프라 운영 방안에 대한 용역 최종 보고회를 통해 오페라하우스, 시민회관, 대구예술발전소, 방짜유기박물관 등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9일 대구의 문화인프라 운영 방안에 대한 용역 최종 보고회를 통해 오페라하우스, 시민회관, 대구예술발전소, 방짜유기박물관 등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9일 대구시로부터 의뢰받은 대구의 문화인프라 운영 방안에 대한 용역 최종 보고회를 대구시청에서 가졌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대구시의 주요 문화 기관들에 대해 오페라하우스는 재단법인화, 시민회관은 계약직 관장을 채용한 후 대구문화예술회관 산하로 이관하는 것을 제안했다. 또 대구예술발전소와 문화창작교류센터는 대구문화재단으로 이관하고, 대구문학관은 대구문인협회 등에 민간위탁하는 방안 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문화계의 오랜 이슈가 됐던 오페라하우스 운영 방안은 재단법인화로 결론을 냈다. 이번 용역의 연구책임자인 이원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오페라하우스 입지 조건이나 예산을 볼 때 충분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여건이 아닌 만큼 이대로 가면 지금보다 나은 성과가 나오기가 힘들 것"라며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문화계에서 우려했던 오페라하우스 공공성 훼손의 문제, 재단 기금의 부족에 대해서 이 연구위원은 "운영 예산은 시에서 출연하게 되며 같은 예산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하자는 취지"라면서 고양과 성남아트센터, 예술경영지원센터 등의 사례를 들었다. 한편 현재 대구시의회가 주장하는 오페라하우스의 사단법인화에 대해서는 "사단법인은 사원총회의 의사 결정에 종속되기 때문에 통제 불능이 될 수 있어 공공기관 운영 방식으로 적당하지 않으며, 그런 사례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대구시에 문화재 정책이 없다는 것. 서울과 부산은 물론이고 인천, 광주, 대전, 울산까지 시립박물관을 보유하고 있지만 유독 대구시만 시립박물관이 없다. 따라서 수많은 대구의 유산들이 발굴기관에 허술하게 보관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번 연구 용역 발표에 대해 오동욱 대구경북연구원 사회문화팀장은 "대구시민회관은 많은 시민의 기억이 녹아있는 상징적인 공간인데 대구문화예술회관 산하의 한 부서로 전락하게 되면 그 상징성이 축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대권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참고해 오페라재단, 대구시민회관 등의 운영을 늦어도 6월까지 최종 의사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