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복원센터 '기우뚱'

입력 2013-01-09 09:23:17

2010년 4월부터 영양군이 추진해온 '국립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 사업이 늦어지고 있다. 2011년 12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과한 이후 1년이 넘도록 예산 확보가 제대로 안 돼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는 것.

전액 국비로 진행되는 사업비지만 전체 사업비 918억원 중 2년간 확보된 예산은 사업비의 5%에도 못 미치는 40억원에 불과한 형편이다.

경상북도와 영양군은 지난해 11월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따라 실시설계비와 측량조사비 30억원과 부지매입비 40억원 등 국비 70억원을 중앙부처와 국회에 요청했다.

올해부터 설계와 부비 매입을 동시에 추진해야 내년에 기반 조성공사에 들어갈 수 있고, 당초 목표였던 2016년까지 완공이 가능하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올해 '멸종위기종 복원센터' 건립 사업에 반영된 국비 예산은 40억원에 그쳤다. 이 때문에 경북도는 실시설계와 부지 측량 조사에 30억원을 투입하고 부지 매입에는 10억원만 쓰기로 방향을 바꿨다.

당초 완공 목표 시기보다 사업이 기약 없이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들어설 영양군 영양읍 대천리 일대는 전체 부지 211만2천㎡ 중 사유지의 비율이 30%에 달한다. 현재 부지 매입 예산으로는 부지 전체를 매입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때문에 올 연말까지 끝내기로 했던 토지 측량과 감정평가, 토지 보상 등의 작업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내년에 착공할 예정이었던 부지 기반조성 공사도 늦어질 수밖에 없어 당초 완공 시점으로 잡았던 2016년까지는 현실적으로 준공할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영양군 관계자는 "올해 내로 211만㎡의 넓은 사업 부지에 대한 측량과 감정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며 "측량 불일치 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 사유지 주인들과의 토지보상비 협의로 시간이 빠듯해 1년 안에 부지 매입을 마무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올해는 부지 매입 예산 10억원으로 일부 부지만 확보한 뒤 내년에 다시 예산을 확보해 부지 매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사업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국책사업을 유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