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일용직 빈곤율, 상용직 근로자의 5배 넘어

입력 2013-01-02 09:42:00

통계청 지난해 복지 조사, 4명 중 1명 가난에 허덕

일자리 종류에 따른 빈곤율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임시'일용근로자의 2011년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은 24.3%였다.

임시'일용근로자 673만6천 명 중 163만7천 명가량이 가난에 허덕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임시'일용근로자의 빈곤율은 4.4%인 것으로 조사돼 일자리 종류에 따른 빈곤율 차이가 5.5배에 달했다.

자영업자 빈곤율도 13.1%로 상용직의 3배였다. 자영업자 559만4천 명 가운데 73만3천 명이 빈곤인구에 해당하는 셈.

상용직 근로자의 경우 규모가 자영업자의 2배에 가까운 1천66만1천 명이지만 비곤율이 낮아 가난한 상용직은 47만 명에 못 미쳤다.

시장소득 기준으로 빈곤율을 계산하면 정부 지원을 포함한 공적 이전지출 등이 고려되지 않아 일용직과 자영업의 빈곤율이 더욱 높아진다.

시장소득 기준 빈곤율은 임시'일용직과 자영업자가 각각 28.1%, 16.1%로 나타나 상용직(5.0%)의 5.6배, 3.2배였다. 빈곤인구는 임시'일용직이 189만3천 명, 자영업자가 90만1천 명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정책 효과에 따라 빈곤층에서 벗어난 인구(시장소득 빈곤인구-가처분소득 빈곤인구)는 임시'일용직이 25만6천 명, 자영업자가 16만8천 명가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2011년 전체 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으로 19.5%, 가처분소득으로 따지면 16.5%였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