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파견 공무원도 '실속'…5년전보다 10여명 줄어

입력 2012-12-31 11:08:46

청와대 검증팀과 협조, 인수위원 발표 늦어져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은 12월 31일 오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조직과 기구 구성 등을 발표한다.

하지만, 박 당선인이 인수위 인선에 대한 검증 실패 논란과 관련, 검증을 강화하면서 인수 위원 인선발표는 애초 예상보다 늦어져 해를 넘길 전망이다.

인수위 조직은 '실무형 인수위'를 만든다는 박 당선인의 방침에 따라 ▷기획조정 ▷정무 ▷외교통일안보 ▷행정 ▷경제 1 ▷경제 2 ▷사회교육문화 등 5년 전의 7개분과 체제와 비슷하게 구성된다.

다만, 경제분과를 1'2분과로 나눌지, 경제 2분과 대신 경제민주화 분과로 변경할지는 인수위원 인선 후 결정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진영 부위원장은 12월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인수위 관련 규정을 보니 현재 운영규정에 경제 1'2 등 7개 분과로 한다는 규정이 정해져 있고 이걸 바꾸려면 당선인 인가를 받아 인수위에서 바꿀 수 있게 돼 있다"며 7개 분과체제의 개편가능성을 시사했다.

현행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 및 24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또 위원회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위원회에 전문위원'사무직원과 필요한 경우 자문위원회도 둘 수 있다.

박 당선인은 정치인 기용은 배제하고 전문가 위주로만 규모를 최소화해 인수인계 업무에만 주력하는 '실무형 인수위'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출범을 앞두고 꾸려진 인수위 규모가 각각 246명과 183명이었지만, 이번에는 100~150명 정도로 꾸려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앞서 12월 30일 행정안전부는 인수위에 파견될 공무원 후보군 명단을 박 당선인에게 전달했다.

인수위 파견 공무원도 '실속형 인수위' 구성 방침에 따라 5년 전의 72명보다 줄어든 최종 60여 명 선이 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 부처별로 국장급과 과장급 추천을 끝낸 상태며 5년 전과 비교하면 추천 인원이 다소 감소했다"며 "파견 요청을 받지 않은 기관도 있어 인수위 파견 공무원 수가 60여 명 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인수위원 추가 인선에 대해서는 박 당선인 주변에서 대체적인 인선안을 마련해두고 검증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이와 관련, "인사 검증에 관해 현 상태에서 청와대 검증팀과 협조를 하고 있다"며 인수위원 후보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다.

박 당선인의 집무실과 인수위 사무실은 각각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과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으로 결정됐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