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생 낙지 요리…연포탕·갈낙탕도 기가막혀"…한라식당 심희자 할머니

입력 2012-12-29 08:00:00

심희자 할머니가 세발낙지 호롱구이를 들고 신바람이 난 듯 재미나게 맛자랑을 하고 있다.
심희자 할머니가 세발낙지 호롱구이를 들고 신바람이 난 듯 재미나게 맛자랑을 하고 있다.

"낙지 음식은 양념을 너무 많이 쓰면 못써. 낙지의 담백하고 개운한 맛을 살릴 수가 없응께."

영암의 향토음식 세발낙지 호롱구이 전도사 역할을 하고 있는 한라식당 심희자(68) 할머니. 한평생을 낙지 요리로 보낸 심 할머니는 세발낙지 요리 만큼은 둘째 가라면 서러워한다.

할머니의 손은 낙지호롱구이 뿐만 아니라 산낙지를 대바구니에 문질러 기절시킨 다음 몸통과 머리는 구워내고 다리는 생으로 내는 '기절낙지'를 비롯해 무와 박속, 미나리, 양파, 마늘, 파, 당근 등을 넣고 세발낙지를 푹 끓여 낸 '연포탕', 갈비살이 연해질 정도로 고아낸 국물에 세발낙지를 살짝 데쳐 낸 '갈낙탕'도 기막히게 연출해 낸다. 부드럽게 씹히면서 매콤하게 무쳐낸 '낙지초무침'과 야채의 아삭함과 낙지의 쫄깃한 식감을 한데 어우러낸 '세발낙지볶음'은 독천리 토박이들도 즐겨 찾는 특별메뉴이다.

곁들여 내는 반찬도 특미다. 새우 다리가 살아 움직이는 상큼한 생새우 즉석 무침은 이집에서만의 일품반찬. 공기밥이 저절로 비워진다. 삼삼한 굴젓과 조개젓'토하젓'갈치속젓 등 말 그대로 밥도둑들이 떼지어(?) 상위에 오르기 때문이다. 묵은지와 매실장아찌도 씹을수록 신듯한 감칠맛이 입안에 고인다.

"요거? 와서 먹어 봐야 맛을 알제."

1남 3녀를 모두 세발낙지로 다 키워냈다는 심 할머니. 오늘도 할머니는 낙지 음식 손맛 만큼은 누구도 못말리는 '이팔청춘'이다. 061)472-4015. 권동순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