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 신공항' 다시 난다…새 정부 출범 후 입지조사 가능성

입력 2012-12-24 10:56:35

정치 외풍 타지 않도록 국내외전문가 참여해야

'박근혜 시대'를 맞아 지방의 숙원 사업인 '신공항' 이 초미의 관심사로 급부상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선거 유세 과정에서 현 정부가 백지화한 신공항 건설을 반드시 재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것이다. 내년 차기 정부 출범 이후 당장 신공항 입지 조사가 점쳐지는 가운데 '남부권 신공항' 건설을 염원하는 대구경북의 역량 결집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소 10조원 예산의 신공항은 차기 정부의 최대 지역 개발 사업으로 꼽힌다. 박 당선인은 지난 대선 유세에서 "반드시 신공항을 건설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원칙과 약속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행보를 고려할 때 신공항은 차기 정부의 최우선 역점 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입지'다. 신공항은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 공약 사업으로, 현 정부 출범 이후 대구경북'경남'울산 4개 시'도와 부산은 각각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를 신공항 입지로 주장하며 격렬하게 대립했다. 결국 이명박 대통령은 경제성이 없다는 표면적 이유를 들어 지난해 3월 대국민 사과를 통해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했다.

하지만 대구경북과 부산은 지난 총선'대선 과정에서 지방의 경쟁력은 물론 한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국가 인프라 차원에서 남부권 신공항 공약 채택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새누리당은 지난 4'11총선 때부터 신공항 건설 재추진을 검토했고, 박 당선인의 대선 약속으로 이어진 것.

박 당선인과 새누리당은 입지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박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대통령이 되면 어떤 정치적인 고려 등 없이 국제적 항공 전문가들을 통해 정말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국제적인 기준에 맞춰 (신공항 입지를) 공정하게 정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다.

이에 대해 남부권 신공항 범시도민추진위원회 강주열 위원장은 "(박 당선인이) 신공항 건설을 약속한 것만으로도 고무적인 일"이라며 "박 당선인의 약속에 따라 다음 정부는 출범 이후 바로 신공항 입지선정 조사 용역비를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정치적 외풍을 타지 않는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로 입지선정조사위원회를 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위원회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라면 남부권 신공항(밀양)이 부산 가덕도보다 비교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박 당선인은 대선공약집 123쪽에 '100% 국민 행복과 국민 대통합을 위한 지역 균형 발전'의 8대 핵심 정책의 하나로 신공항을 제시했다. 광주, 대전, 전남, 전북까지 2천만 명이 넘는 지역민을 대상으로 하는 남부권 신공항은 균형 발전에 꼭 부합하는 사안이란 것이다.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차기 정부가 입지선정 조사를 결정하는 즉시 남부권 8개 시'도와 공조해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지난 7월 대구경북 및 울산, 경남 지역 국회의원 20여 명이 발의한 특별법(남부권 신공항 건설 촉진법안 및 남부권 국제공항공사 법안) 제정에 들어가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가 입지 조사 시행을 결정하면 신공항 태스크포스(TF)부터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정부와 각 시민단체, 언론과 함께 힘과 지혜, 역량을 모아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