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일 강행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그 탑재물의 궤도 진입 성공은 안보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이 해결해야 할 2가지 큰 과제를 던졌다, 하나는 명백한 도발인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공조로 어떻게 응징하느냐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보다 훨씬 뒤떨어지는 우리의 미사일 기술 격차를 단시간에 극복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12일 오전 9시 49분께 동창리(평북 철산군)에서 발사된 북한의 장거리 로켓은 추진체 1, 2, 3단이 정상 분리된 뒤 '광명성 3호'로 명명된 탑재물을 위성 궤도에 진입시켰다. 이는 명백한 도발 행위이다. 만에 하나 북한이 여기에 핵을 장착해서 위협하는 끔찍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을 할 수 없게 됐다.
긴급 소집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이를 도발로 규정하고, 강력한 응징을 예고하고 있다. 유엔안보리는 지난 4월 북한이 로켓이나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트리거(방아쇠) 조항을 의장성명에 포함시킨 바 있다. 그만큼 북한은 유엔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했고, 국제사회의 안보 의지를 강력하게 뒤집어놨다.
문제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로 촉발된 한국의 안보 위기 해소책이다. 국제사회가 공조하여 강력하게 응징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북한이 미국 본토 서부 해안까지 사정권에 둔 사거리 1만㎞ 이상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아 올리도록 그 낌새조차 파악하지 못한 우리 군의 대북 감시 태세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왜 알아내지 못했는지,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미국의 인공위성 화상 정보가 왜 오판을 불러왔는지도 가감 없이 밝혀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