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강추위가 몰아치면서 전력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부터 낮기온마저 영하로 곤두박질치면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해 평소 700만㎾를 유지하던 예비전력이 417만㎾까지 내려가는 등 간당간당한 수준이다. 특히 올겨울은 예년보다 강추위가 이어지고 전력 소비 또한 크게 늘 전망이어서 자칫 전국적인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사태가 재발하지 않을지 걱정되는 상황이다.
이런 비상사태를 막기 위해 정부가 3일부터 에너지 사용 제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내년 2월 22일까지 3개월간 대형빌딩과 백화점'대형마트 등 6만 5천여 곳과 에너지 소비가 많은 건물에 대해 난방 온도를 20℃ 이하로 유지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오후 5~7시 야간 피크시간대에는 네온사인 사용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 상가나 빌딩들이 제도 시행 자체를 모르거나 알고 있더라도 문을 열어놓은 채 난방기를 가동하는 일이 많아 에너지 절약 대책이 시작부터 겉돌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특히 상인들이 불만이 많다고 한다. 문을 닫고 영업할 경우 손님들이 잘 들어오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과태료를 물더라도 문을 열어놓고 영업하는 곳이 많다 보니 전기 과소비가 전력난을 초래하고 대규모 정전 때문에 더 큰 피해를 부르는 악순환 구조가 되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백이면 백 모두가 지키지는 않는다. 하물며 당장 생활에 불편을 주는 정책이라면 단속하고 과태료를 물려도 잘 지키기 힘들다. 정부는 국민들이 스스로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하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계도해야 한다. 국민들도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절전이 최선임을 인식하고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