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발암물질 검출 농심 너구리 회수 결정

입력 2012-10-27 08:00:00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검출된 농심 라면 등에 대해 '평생 매 끼니 먹어도 인체에 위해가 생기지 않는다'고 했던 식약청이 여론의 뭇매를 맞고서야 정신을 차린 것은 유감이다. 식약청이 발암물질 검출 라면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기는커녕, 극미량이라는 이유로 벤조피렌이 검출된 라면을 먹어도 괜찮다는 식으로 안이하게 발표하는 바람에 여론의 질타가 쏟아졌다.

보기에 따라서는 식약청이 5천만 국민의 식품 안전을 위한 파수꾼 역할보다 라면 업계의 입장을 더 배려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신을 받은 꼴이 됐다. 1급 발암물질 검출 라면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자 식약청은 뒤늦게 회수를 결정했다. 회수 대상은 '얼큰한 너구리' '순한 너구리' '새우탕 큰 사발면' '생생 우동 용기' 등 농심의 라면 6종과 동원홈푸드 '동원생태우동해물맛' 민푸드시스템 '어묵맛 조미' 화미제당 '가쓰오다시' 등 9종 564만 개에 이른다.

식약청의 이번 라면류 회수 결정에도 국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자진 회수 조치 결정이다 보니, 아직도 매장에서는 해당 제품들이 눈에 띄고 있을 뿐 아니라 라면 수프류에 대한 안전기준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져서이다.

"발암물질이 들어 있는데도 그 양이 미미하다는 이유로 평생 먹어도 좋다는 식으로 발표하는 식약청을 어떻게 믿느냐"는 소비자들은 기준치를 넘지 않더라도 최소한 어떤 유해 성분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귀담아들어야 한다.

식품 전문 회사로 리딩 그룹에 드는 농심이 하청업체의 납품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서 벤조피렌과 같은 1급 발암물질이 수프류에서 검출되는 사태를 빚은 사실은 부주의가 빚은 결과이다. 이미 농심은 이전에도 프리미엄 라면 출시와 관련된 논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라면류를 즐겨 먹는 연령대가 청소년층과 젊은 직장인층임을 감안한다면, 이들 라면류에 대한 식품 안전 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인체에 아무런 위해를 남기지 않는다고 했다가 여론에 굴복하여 문제 라면을 뒤늦게 회수 결정하는 식의 식품 정책은 유해한 물질들이 널려 있는 현실에서 지지받기 어렵다. 시민 먹거리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책, 지금이라도 시대 흐름에 맞도록 더 강화하고 더 철저하게 체크해야 한다. 이를 위반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농심이든 어디든 강한 제재 조치를 내려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