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판 핵심 이슈로 부상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이 정치권의 핵 이슈인 가운데, 노 전 대통령이 재임 5년간 대통령기록물의 차기 정부 인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문건의 목록과 내용을 파기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이 주재한 각종 주요 회의를 녹화시켰는데 2007년 5월 22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은 "(차기 정부에) 인계할 때 제목까지 없애버리고 넘겨줄 거냐, 그게 기술상 가능하냐는 문제도 있지요"라고 하자 당시 A비서관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다른 수석비서관이 거듭 반대했지만 A비서관은 "그렇게 해야 합니다. 목록을 없애 안 보이게 해야 됩니다"라고도 했다.
당시 회의에는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도 참석했다. 당시 회의는 노무현 청와대의 문서 결재 시스템인 'e지원'과 관련된 회의로 노 전 대통령은 퇴임 직전인 2008년 2월 청와대 컴퓨터 메인 서버의 e지원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봉하마을로 가져갔다. 노 전 대통령은 대통령기록관으로 넘겨줘야 할 e지원 자료 중 상당수를 대통령지정기록물로 만들어 목록까지도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당시 회의에서 논의했다.
현재 NLL 공방이 한창이지만 이 단독회담 회의록도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돼 최장 30년까지 볼 수 없게 돼 있다. 대통령이 지정기록물로 정하면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 의결이 있거나 담당 고등법원장이 영장을 발부하지 않는 한 열람, 사본 제작, 자료 제출 등이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이런 사실이 뒷받침되면 노무현 정부가 차기 정부인 이명박 정부에서 열람하지 않아야 할 소위 '비밀스러운' 일들을 감췄다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노 전 대통령은 또 "우리가 원서버를 두고 (비밀로) 지정할 것은 다 지정해서 이관(대통령기록관) 쪽으로 옮기고, 나머지 중에 인계하고 싶은 것도 뽑아가면 남는 것은 필요 없는 것"이라며 "그래서 남은 것을 오히려 복사본으로 개념을 전환해 버리면 된다"고 했다. 청와대에 남겨둔 컴퓨터 메인 서버의 하드디스크가 복사본이고, 봉하마을로 가져간 하드디스크가 원본이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새누리당은 '대통령기록물' 열람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22일 "대통령이 기록물로 정하면 비밀이 아닌 일반문서도 볼 수 없는 모순을 고치기 위해 법률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