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이 재배면적 감소와 태풍 피해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2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생산량은 407만4천t으로 지난해 422만4천t보다 15만t(3.5%) 줄었다. 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현백률 기준을 9분도(92.9%)로 적용해 산출한 것이다. 이는 이례적으로 쌀 생산량이 급감했던 1980년의 355만t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다.
올해 벼 재배면적도 84만9천㏊로 지난해보다 0.5% 감소해 2002년 이후 11년째 감소했다. 단위면적(10a) 당 쌀 생산량은 481㎏으로 지난해의 496㎏보다 3.0% 감소했다.
쌀 생산량이 줄어든 원인은 벼 재배 면적의 감소보다는 볼라벤, 덴빈 등 태풍으로 인해 작황이 부진했던 이유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풍수해 피해구역 비율은 지난해 2.4%였으나 올해는 17.2%로 늘었고 이삭당 완전 낟알 수도 지난해 78.4개에서 올해는 71.9개로 급감했다.
수확을 앞두고 생산량이 급감하자 쌀 가격이 오를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산지를 중심으로 수확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자 쌀 가격이 오를 것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며 "특히 햅쌀이 들어오는 10월 말부터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 쌀 공급량이 수요에 부족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태풍 전 사상 최대 작황을 보였으나 올해 쌀 생육에 가장 중요한 시기에 3차례에 걸쳐 찾아온 태풍의 영향으로 수확량이 줄었다"며 "현재 쌀 가격이 7, 8% 정도 높게 형성된 것은 맞으나 정상적인 시장 루트상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말했다.
또 "수입쌀 물량 재고 상당부분을 갖고 있어 전체 쌀 재고 수준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쌀 수급상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나 부족하다는 느낌을 현장에서 갖게 되면 값이 오를 우려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김봄이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