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최대 1천억원 지원…공원·녹지공간 10배 확충, 7개 공동주택 단지
대구의 대표적 노후 주택지로 꼽혀 온 서구 평리동 일대가 뉴타운 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녹색 주거 공간으로 변신한다.
지역에서는 동구 신암동에 이은 두 번째 뉴타운 개발 사업으로, 도로'주차장'공원 등 기반시설에 대한 국비 지원(최대 1천억원)을 통해 아파트 민간 투자를 활성화시키는 도심 재생 방식을 도입한다.
대구시는 지난 2010년부터 수립해 온 '2022년 평리뉴타운 마스터플랜'(평리지구 재정비촉진계획안)을 확정해 10일부터 주민 공람에 들어간다. 계획안에 따르면 1970년대 서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서구 평리 5'6동 일원 노후 주거지(68만9천64㎡)가 40여년 만에 처음으로 재정비 사업에 돌입한다.
사업의 핵심은 양방향 차량 통행이 힘겨운 좁은 도로와 노후 불량 주택 위주의 평리지구 내부를 7개 공동주택 단지로 재편하는 것이다. 공동주택 건설에 따라 현재 6천360가구(1만6천397명)가 2022년 기준 8천900가구(2만1천359명)까지 증가한다. 새로 들어서는 공동주택의 90% 이상을 중소형 평형 위주로 계획해 원주민 부담을 낮추고, 주변 서대구공단의 배후 주거지 기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단지 내 상업, 문화 공간을 포함하는 보행 중심의 십자형 가로(폭 26m)를 구축한다.
사업의 또 다른 키 포인트는 '친환경'이다. 현재 3천310㎡에 불과한 공원'녹지 공간을 10배 가까운 3만㎡ 수준까지 확충해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녹색 주거단지로 개발한다. 기존 평리 5'6동 주민센터는 각각 지구 남측과 북측의 복합 커뮤니티 센터로 확장 이전해 다양한 문화 활동 기회를 제공한다.
사업 성공의 관건은 민간 투자다. 주택경기 장기 침체를 고려할 때 사업자 참여를 장담하기 어려운 처지다. 다만 뉴타운 사업은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도로, 주차장, 공원 등 기반 시설에 대한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투자를 보다 쉽게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0년 5월 결정'고시가 난 신암뉴타운 경우 현재까지 국비 100억여원을 지원받은 전례가 있다.
대구시는 주민공람 이후 공청회 및 심의를 통해 내년 2월까지 평리지구 재정비촉진계획안 결정'고시를 마무리할 예정으로, 주민들의 추진 의지와 민간 투자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 정명섭 도시주택국장은 "평리지구는 뉴타운 개발을 통해 서부 지역 재생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주민들 간 소통을 통한 조화롭고 안전한 주거문화 조성에 최우선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