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입학사정관제 전형, 철저한 검증체계 만들어야

입력 2012-08-17 10:42:42

지적 장애 여중생을 성폭행한 전력이 있는 학생이 성균관대 입학사정관제 리더십 전형에 합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학생은 성폭행 혐의로 소년보호 처분을 받았으나 이를 숨기고, 교사의 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통해 합격했다. 성균관대 측은 자체조사와 당사자 소명을 통해 사건을 처리하기로 했다.

이번 사건은 하나의 예이지만, 현 정부가 사교육 줄이기에 매달려 강제로 밀어붙인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허점을 그대로 보여준다. 입학사정관제는 스펙을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철저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고등학교가 정직과 사실만을 바탕으로 추천서를 작성하는 것은 물론 대학도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해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 이 사건만 하더라도 2010년에 일어난 것이어서 학교 측이 몰랐을 리 없다. 그럼에도 교사는 봉사를 많이 했다고 추천서를 썼고, 대학 측은 이를 믿고 합격시켰다. 대학 측은 "학생에 대한 추가 자료가 없어 교사 추천서에 의지해 뽑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학교는 학생의 범행 사실을 숨겼고, 대학은 검증 시스템이 전혀 없었음을 자인한 것이다.

이 문제점은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대대적인 도입 때부터 지적됐다. 정부는 입학사정관을 늘리고, 고등학교를 철저하게 관리 감독하겠다고 했다. 대학은 객관적이고 공정한 검증을 위한 체계를 만들겠다고 했다. 하지만 결론은 주먹구구식이었다. 성균관대는 국내 사립대 가운데서도 일류다. 이런 대학조차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면 다른 대학도 비슷한 상황임을 미뤄 알 수 있다. 정부는 이번을 계기로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점검해 드러난 문제점을 전면 보완해야 한다. 대학 입시가 투명하지 못하면 교육제도 전체가 흔들린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