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교육청은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공동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 수가 적은 2~4개 학교를 묶어 수업과 체험 활동, 수학여행, 운동회 같은 것을 함께 하는 것이다. 경북도교육청은 지난해 66개 초교를 25개 군으로 묶었고, 올해는 98개교를 38개 군으로 묶어 운영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도교육청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사업으로 주목할 만하다. 현재 정부는 학급과 인원수를 묶어 하한선을 정하고, 일괄적으로 학교 통폐합 작업을 추진 중이다. 현장과 동떨어진다는 반발이 많지만 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따진다면 정부의 방침도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 중요한 것은 아무런 대책 없이 정부 방침에 반발할 것이 아니라 이 프로그램처럼 소규모 학교를 살릴 수 있는 분명한 사례를 들어 정부에 건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면 마을을 대표하는 전통 있는 학교가 없어진다거나 전학에 따른 등하교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물론, 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해도 이동 거리나 다른 학교라는 이질감 등의 불편함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하지만 통폐합과 공동 교육이라는 안을 놓고 비교하면 어느 쪽이 바람직한가는 단박에 드러난다.
문제는 사업비다. 경북도교육청이 올해 이 프로그램에 배정한 예산은 9억 원이다. 이를 38개 군으로 나누면 평균 2천300여만 원 정도다. 더구나 학교 수로 나누면 1천만 원도 안 된다. 이 정도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렵다. 참여 학교와 교사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성과에 따라 더 많은 소규모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경북도교육청에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경북 전체를 대상으로 충분한 연구와 발전 방향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 지자체도 지역의 학교를 살리는 데 동참해 이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