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 돋보기] 수학'과학 수행평가

입력 2012-06-14 14:08:11

수학-풀이과정 체계적 서술, 과학-실험 통한 내용 이해

수행평가의 계절이 돌아왔다. 중간고사가 끝난 직후부터 기말고사가 시작되기 전 요즈음, 대부분 학생이 수행평가로 분주하다. 정기고사 외에 과목마다 수행평가를 반영하는 비율이 낮게는 20%에서 예체능의 경우 80%까지 다양하다. 이 때문에 학생들의 입장에선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과목별로 다양하게 이뤄지는 수행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할 말이 많다. 어차피 기본점수를 주고 하는 평가라 변별력이 없다는 주장부터 중간고사가 끝나자마자 또다시 수행평가를 하느라 도대체 쉴 틈이 없다는 불평이 나온다. 또 팀별 수행을 하면 묻어가는 친구들 때문에 억울하다거나 집에 가서 수행숙제를 해오는 것은 부당하다고들 말한다. 여기에다 예체능은 그냥 보고, 듣고, 즐기는 게 맞지 않느냐는 주장이 있고, 심지어 평가기준에 공정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다.

수행평가는 1999년 처음 시작돼 모든 초'중'고교에서 이뤄지고 있다. 수행평가란 자신의 지식이나 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산출물을 만들거나 혹은 행동으로 나타내거나 답을 구성하도록 하는 평가방식이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학생이 실제로 행동하는 과정이나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 수행평가를 하는 목적이다. 기존의 학습결과나 성취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 과정에 의미를 두겠다는 것이다.

수행평가의 종류에는 서술형, 논술형, 구술시험, 실기시험, 실험, 실습, 면접, 관찰,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이 있다. 학교에서 흔히 하는 수행평가의 종류는 서술형, 포트폴리오, 실기시험 등이다. 수행평가의 취지대로라면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고 이끌어가는 가운데 교사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학교 수업은 여전히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평가 방식은 바뀌었지만 다른 시스템은 제자리인 상태에서 학생들은 낯선 평가방식에 적응해야 하고 교사의 입장에선 합리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부딪히게 된다.

수행평가도 다른 시험과 마찬가지로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대비를 해야 한다. 우선 대부분 과목에서 수행평가의 내용으로 태도점수를 반영한다. 학생들의 입장에선 평소 수업에 집중하면서 공부도 하고 기본점수도 확실히 챙길 수 있기 때문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쉽게 얻을 수 있는 점수다. 자칫 수업태도가 좋지 않아 기본 점수가 깎이게 되면 다른 영역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또 교과서 정리나 노트필기를 깔끔하게 잘하는 것도 좋은 점수를 받는 데 보탬이 된다. 컴퓨터 자판에 익숙해진 지금의 시대에도 반듯하게 잘 정리된 글씨는 감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과목의 수행평가에서 가장 흔한 평가방식은 서술형 평가이다. 서술형 평가의 내용이나 평가 시기는 예고 없이 치러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간고사가 끝난 직후부터 수행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예체능처럼 수행평가로 실기의 비중이 큰 과목은 예외지만 결국 평소 성실하게 수업시간에 참여한 학생이 수행평가도 잘 볼 가능성이 크다.

수학 수행평가는 서술형 주관식 평가와 과제해결 능력 및 태도 평가를 기준으로 수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다. 평소 문제를 풀 때 풀이과정을 생략한 채 답만 찾는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보다 체계적으로 풀이과정을 꼼꼼하게 빠트리지 않고 서술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서술형 평가에서는 풀이과정에 대한 채점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과학 역시 탐구수행과 과제 및 태도 평가를 30% 정도 반영한다. 탐구수행은 주로 실험내용에 대한 서술형 평가를 많이 하는 편이므로 평소 실험을 통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여름방학 동안 2학기 수행에 반영하는 것을 전제로 자유탐구 주제를 선정해 탐구실험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스스로 자료를 찾고 실험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만들다 보면 지금까지 몰랐던 과학의 즐거움을 느낄 수도 있다. 좋은 결과는 작은 과정들이 차곡차곡 쌓여 이루어진다. 수행평가는 좋은 결과로 이르는 또 하나의 과정이다.

송은경(와이즈만영재교육 대구중부센터 원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