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구미시에서 첫 번째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참살이.
간병사업단, 재활용사업단 등의 사업을 펴고 있는 참살이는 2008년 9천400만원에 불과했던 연매출이 지난해 12억원으로 10배 이상 뛰었다.
이곳에 고용돼 월급을 받는 노인 직원 수는 12명. 처음에는 정부 지원금으로 임금을 지급했지만 현재는 자립 운영을 통해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
참살이 오영재 실장은 "초기 정부 지원 기간 동안 사업 확장과 투자를 통해 자립성을 높인 덕에 이제는 지원 없이 독립적인 기업으로 운영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대구경북 지역 내 사회적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취약 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공적 성격의 기업으로 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장기 불황과 양극화, 노령화 등으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대구경북에서는 대구경북사회적기업지원센터가 인증 사업을 맡고 있다.
대구경북사회적기업지원센터가 설립된 2009년 당시 대구경북 사회적기업은 20곳. 2012년 현재는 3배 이상 늘어나 66곳에 달한다. 같은 기간 전국의 사회적기업이 289개에서 684개로 늘어난 것과 비교해 빠른 속도로 규모가 커졌다.
사회적기업의 업종은 급식사업, 문화예술사업, 제조업, 돌보미사업, 교육사업, 친환경사업 등 다양하다. 66개의 대구경북사회적기업에서 창출한 고용 인원은 약 1천500여 명이 넘는다.
대구경북사회적기업지원센터 관계자는 "대구경북에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아 사회적기업 증가 속도가 빠르다"며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도 취약계층이 필요로 하는 부분들이 많다"고 밝혔다.
실제로 취약계층 중 하나인 국민기초생활급여 수급자는 대구가 23만6천 명으로 전국의 6.0%, 경북이 30만1천 명으로 전국의 7.6%로 인구 대비 높은 편이다. 전국 인구 중 대구와 경북 인구는 각각 5.1%, 5.3% 수준이다.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업체는 최대 3년까지 인건비 및 연구개발비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지자체에서 선정하는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될 수 있는 2년까지 포함하면 총 5년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사회적기업이 늘면서 최근에는 지원 기간이 끝난 업체들의 자생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적기업들의 평균 고용 인원이 14명이지만 수익성 악화로 지원금이 끊어지면 고용 인원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사회적기업지원센터는 "사회적기업 참가를 원하는 분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윤을 낼 수 있는 구조로 운영이 돼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사회적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