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여러 기업서도 거액 금품수수 포착

입력 2012-05-02 10:47:59

서울 양재동 대형 유통센터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검사 최재경)는 2일 오전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을 피내사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박 전 차관은 파이시티 인허가 청탁과 함께 거액의 금품을 수수한 의혹을 받고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기업에서 수억원의 돈을 직접 받아 이동조 제이엔테크 회장을 통해 관리해 온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9시 50분쯤 대검찰청 청사에 모습을 드러낸 박 전 차관은 "모든 사실을 검찰에서 밝히겠다"고 짧게 말한 뒤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검찰은 현재 박 전 차관에게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같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알선수재의 공소시효가 5년인 점을 감안하면 2007년 4월 이전에 받은 돈은 설령 그것이 사실일지라도 기소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또 박 전 차관의 자금 세탁을 도운 의혹을 받고 있는 이 회장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고 관련 인물들을 조사하고 있다. 박 전 차관과 관련한 자금 흐름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밝히기 위해 광범위한 계좌추적을 하는 등 혐의 입증에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구속된 최 전 위원장과 서울시 국장급 간부들을 1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이 박 전 차관의 인허가 청탁 비리 의혹을 수사하면서 소환한 서울시 관련자는 5명에 이른다. 검찰은 중국에서 귀국한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을 같은 날 오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5시간가량 조사했다. 강 전 실장은 2007년 박 전 차관으로부터 '인허가 진척상황을 알아봐 달라'는 취지의 전화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편 박 전 차관과 이 회장의 관계에서 촉발된 포스코 관련 의문이 증폭되면서 포스코건설이 지난해 5월 파이시티 시공사로 단독 입찰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데 대해서도 의혹이 일고 있다. 2007년 7조원 수준이었던 포스코건설의 개발사업 수주액이 이명박 정부 출범 뒤인 2008년에는 14조원 정도로 급성장했다. 포스코건설이 지난해 파이시티 시공권을 따내면서 8천900억원에 달하는 기존 파이시티 측 대출금의 보증을 서지 않은 것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모두 박 전 차관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