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선생은 현대무용수였다. 솔직히 말해 가까이서 무용수를 본 것은 처음이었다. 주위에는 아무도 무용을 하는 사람이 없었고 딱히 무용에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게다가 현대무용이라니. 직업도 직업이지만, 그의 병인 연골암도 흔한 암은 아니었다. 내게 왔을 때는 연골암이 오른쪽 눈 바로 위에 있는 머리뼈로 전이돼 한쪽 눈을 제대로 뜰 수 없었다.
척추, 골반을 비롯해서 팔, 다리, 어깨뼈까지 암이 없는 곳이 없었다. 통증이 심해서 몸을 비트는 것도 힘들었다. 죽음에 대한 공포도 컸다. 푹 자면 푹하고 죽는 줄 착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멀쩡한 왼쪽 눈은 항상 뜨고 있었다. 두 시간 이상을 연달아 자본 적이 없다. 간병하는 준이 엄마는 환자보다도 더 환자 같았다. 그들은 올망졸망한 아들만 셋이 있다. 준이 막냇동생이 세 살이니까 그녀는 잇단 출산과 육아로 지쳐 있었다. 그런 몸으로 몇 달째 간병을 하고 있으니 하얗고 가느다란 손목은 똑 부러질 것 같았다. 딸처럼 생각하는 시어머니가 보내준 보약 때문일까? 남편에 대한 사랑 때문일까? 그래도 잘 버티고 있었다.
윤 선생의 왼쪽 눈은 수면부족으로 늘 충혈돼 있었다. 그리고 암 덩어리가 혀로 가는 신경을 눌러서 말도 어둔했다. 당연히 삼키는 능력도 떨어졌다. 혹여나 물 한 모금을 잘못 삼키면 금방 사레가 걸렸다. 그다음에는 기침하느라고 고생했다. 혈소판이 부족한 그는 그것이 자극이 돼 목구멍에서 피가 올라오거나 코피가 줄줄 흘렀다. 딱했다.
준이 엄마는 "어어 버버" 하는 그의 말을 잘도 알아들었다. 나는 그녀처럼 말뜻을 알아들을 수는 없었지만, 핏발이 벌겋게 선 왼쪽 눈동자에서 뿜어나오는 강렬한 생명의 빛은 느낄 수 있었다. 마치 그의 눈은 말을 하는 듯했다. 입원하고 일주일쯤 뒤부터 나도 준이 엄마만큼은 아니지만 공책에 대충 적어주는 글과 말소리로 소통이 가능했다. 신기했다.
의사소통이 되니까 그도 신이 났다. 회진시간이 어떨 때는 한 시간을 훌쩍 넘을 때도 있었다. 아침 회진에 그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 "선생님, 소원이 있어요. 아내를 안고 자고 싶어요."
아! 내가 왜 그걸 몰랐을까? 그들이 젊은 부부라는 것을. 준이 엄마는 옆에서 어색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나는 회진을 마치고 처방을 입력했다. '305호 무료로 쓰는 일인실로 전실해 주세요. 보호자 침대를 치우고, 빈 침대 하나를 환자 침대에 붙여 주세요. 문 앞에 가리개 꼭 설치해 주세요. 그리고 305호 들어갈 때는 반드시 노크하세요.' 오랜만에 그들은 깊은 잠에 빠져들었다. 서로의 손을 뻗어서 마주 잡은 모습으로. 도대체 무슨 꿈을 꾸고 있을까?
김여환 대구의료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