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인물] 설형문자를 해독한 군인, 롤린슨

입력 2012-04-11 07:24:07

1837년 한 영국군 소령이 이란 서부 비시툰에 있는 까마득한 높이의 절벽 위에서 활차를 타고 내려오고 있었다. 목숨을 건 군사 작전이 아니었다. 순전히 학문적인 목적으로 절벽에 새겨져 있는 2천500년 전 비문(碑文)을 베끼기 위해서였다. 그 장교는 훗날 '아시리아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헨리 롤린슨(1810~1895) 경이었다.

아슬아슬한 곡예 끝에 고대 페르시아어, 에람어, 바빌로니아어 등 세 가지 다른 언어로 새겨져 있는 페르시아 다리우스 1세의 치적을 옮겨 적어 그중 고대 페르시아어 일부를 해석해냈다. 그는 20년간에 걸쳐 난해한 설형문자를 해독, 5천 년간 찬란하게 꽃피웠던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1810년 오늘 영국 옥스퍼드셔에서 태어난 그는 17세 때 사관후보생으로 인도로 가는 여행 중에 메소포타미아학에 빠져들었다. 배 여행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한 동방학자와 오랫동안 얘기를 나누다 설형문자 해독에 몸바치기로 결심하고, 평생에 걸쳐 이를 이뤄냈다. 평범한 군인'외교관에 그쳤을 그의 삶은 아주 우연한 기회에 고고학의 개척자로 뒤바뀐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