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때 일본군은 포로를 매우 가혹하게 대했다. 항복을 최대의 수치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적군 포로 역시 군인의 명예를 더럽힌 자들일 뿐이었다. 이런 황폐한 정신세계가 잘 드러난 사례가 1942년 오늘부터 3일간 1만 여명의 미국-필리핀 연합군 포로를 죽인 '바탄(Bataan) 죽음의 행진'이다. 이를 이끈 인물이 혼마 마사하루(本間雅晴' 1888~1946)이다.
태평양전쟁 초기 일본군의 위력을 잘 보여준 장군으로 필리핀 침공 작전을 성공시켜 맥아더에게 치욕을 안겨줬다. 하지만 미군이 바탄 반도로 후퇴할 시간을 줬다는 이유로 해임돼 한직으로 물러난 뒤 1943년 전역했다. 바탄 반도에서 항복한 미국-필리핀 연합군은 모두 7만 명. 일본군은 이들을 수용소까지 총 128㎞를 강제로 행진시켰다. 폭염 속에 물도 음식도 주지 않았으며 낙오하는 포로는 사정없이 두들겨 패거나 총검으로 찔러죽였다.
혼마는 종전 후 마닐라 전범재판에서 이 야만적인 전쟁범죄의 책임자로 기소돼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는 포로의 처우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으며 그런 가혹행위가 있었던 줄도 몰랐다고 변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맥아더의 명령으로 교수형 대신 총살형으로 처형됐다.
정경훈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