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8개정당서 후보, 공약 차별화로 지지호소
제1당을 노리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혈투가 치열한 가운데 군소정당들도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다만 목표가 '검소'할 뿐이다. 비례대표 의원 배출과 정당의 존립이 목표다.
이번 선거에는 모두 20개 정당이 비례대표 선거에 참여,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들은 지역구 5석 이상을 차지하거나 지역구 후보 투표와 함께 진행되는 정당명부 투표에서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을 얻어야 비례 의석을 배정받는다.
현재 국회에 의석이 없는 원외 정당 14곳의 경우 '선거용 정당'에 머무를 가능성도 있다. 정당법에 따르면 정당 지지율 2%를 넘지 못하면 정당 등록이 자동 취소되기 때문이다. 4년 전 18대 총선의 경우 전국에서 245명의 후보를 낸 '평화통일가정당'이 단 한 사람의 당선자도 못 내고 결국 문을 닫았다. 당 지지도는 1.05%에 그쳤다. 당시 국민실향안보당, 통일한국당, 시민당 등 9개 정당이 선거 직후 등록이 취소됐다.
이번 총선에서 대구경북에 후보를 낸 군소정당은 창조한국당, 국가재건친박연합, 미래연합, 국민생각, 국민행복당, 녹색당, 진보신당, 기독당 등 8곳이다. 대구경북 27개 선거구에서 14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일부 새누리당 후보들이 전국 최다 득표율을 노리고 있는 데 비하면 2%나 3%는 쉬울 것 같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조직력과 인지도에서 기존 거대 정당들과 워낙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들은 당의 가치와 비전을 앞세워 정당투표 득표율을 끌어올리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공약 차별화는 이들이 내세우는 주요 전략이다. 일부 공약은 참신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지만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황당한 항목들도 꽤 있다.
기독자유민주당은 국가가 실시하는 각종 자격시험을 주일날 실시하지 못하도록 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국민행복당은 취업부 신설, 국회의원 3분의 1 축소, 군 전역 시 1천만원의 수당 지급이란 공약을 제시했다. 녹색당은 '하루 6시간 주 30시간 근무'를 담은 '칼퇴근법', 채식인의 선택권 보장과 채식문화 확산을 위한 제반 법령 입법화를 주창했다.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은 저신용자를 위한 파산자은행 설립을 약속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