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새벽 1억8천여만원의 재산피해(소방서 추산)를 낸 포항 죽도시장 화재(본지 15일자 8면 보도)는 불이 날 당시 시장의 소방안전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예고된 인재였다는 지적이다.
본지 취재결과 화재 발생지와 약 20m 떨어진 곳에 설치된 소화전 비상벨은 화재 당시 작동되지 않았으며, 화재 이후에도 작동을 시도했으나 벨이 울리지 않았다. 또 소화전 위 아케이드 지붕 상단에는 화재 감지를 위한 경보기가 약 4m 간격으로 10여 개 설치돼 있지만 이번 사고에서는 아예 작동하지 않았다. 화재경보기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도 별도의 물탱크가 없어 직접 호스를 연결해 물을 공급해야 하는 구조 탓에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소용이 없었다.
화재로 점포를 잃은 한 상인(43)은 "불이 나자마자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인근 화재경보 비상벨을 몇 번이나 누르고 소화전을 이용하려 했는데 꿈쩍도 하지 않았다. 소방차가 도착한 뒤에도 좁은 골목 탓에 (화재 발생지와)100m나 떨어진 곳에서 살수 호스를 연결하느라 어영부영하는 사이 불이 더 번졌다"고 말했다. 또 "소방관들은 호스 길이가 짧아 연결을 못하자 결국 더 가까운 곳으로 소방차를 옮겼다"며 "처음부터 소방장비가 제대로 작동하고 소방서에서 좀 더 신속히 대응했더라면 피해가 이만큼 커지지도 않았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또 다른 상인(52)은 "경보기, 소화전, 스프링클러가 있지만 정작 화재 때는 하나도 제대로 작동한 게 없다"며 "전시행정 때문에 예산만 소비하고, 우리가 그 피해를 고스란히 보고 있다"고 한숨을 쉬었다.
포항시에 따르면 죽도시장 화재경보기 등 소방안전 장비들은 2000년 죽도시장 현대화사업 이후 화재예방을 위해 특별예산을 들여 설치한 것이며, 죽도시장상가번영회가 관리를 맡고 있다. 또 소화전은 같은 기간 포항북부소방서가 설치해 한 달에 한 번 정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서 관계자는 "화재가 발생한 뒤 소화전에 연결된 전선 등이 녹았을 가능성도 있어 조사를 진행 중이다. 화재가 발생한 곳은 경보기가 있는 곳과 약 20m 정도 떨어져 있고, 외부에 설치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제기능을 못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포항'신동우기자 sdw@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