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대로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은 2014학년도 수능시험에서 난이도를 선택해 치르게 됐다.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의 난이도를 A, B로 나눠 수험생이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A형은 현재보다 쉽고, B형은 현재 수준에 맞췄다. 대부분의 중상위권 대학은 인문계는 언어와 외국어, 자연계는 수리와 외국어에서 다소 어려운 B형을 반영할 예정이다. 인문계는 수리, 자연계는 언어에서 부담이 줄게 됐다.
이러한 입시 제도 변화는 이명박 정부 들어 계속 추진한 사교육 줄이기와 관련 있다. 중요 3과목 중 하나에 대한 부담을 줄임으로써 사교육이 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제도도 입학사정관제와 수시 전형의 확대와 마찬가지로 문제점이 많다. 가뜩이나 복잡한 대학 입시를 더욱 복잡하게 할 뿐, 사교육을 줄이는 효과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입시에서 수능의 변별력이 사라지면서 수험생은 엄청난 혼란을 겪었다. 소위 예정된 '물수능'이었지만, 사교육은 줄지 않았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앞으로 수능은 점점 더 쉬워져 과거의 예비고사처럼 통과 의례처럼 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의 새 수능 시험 제도에 대해 전문가들은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변별력 확보를 위한 대학별 논술, 면접 고사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동안 현 정부는 사교육 줄이기에 매달렸지만 특별한 대책이 없자 짜깁기 식으로 개선책을 만들었다. 그 결과 대학 입시는 복잡해진 반면 가시적인 사교육 줄이기 효과는 없었다. 한 번 방향을 잘못 잡은 정책을 계속 고집하면서 정작 중요한 입시 정책의 혼란만 부른 것이다. 잘못된 것은 빨리 고칠수록 좋다. 일부 과목의 난이도를 조절한다고 사교육이 줄지 않는다. 차라리 논술이나 면접에까지 사교육 광풍을 부르는 입시 제도는 막는 것이 옳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