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면 '놀토'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 시급하다

입력 2012-03-05 11:08:29

지난 2일 초'중'고등학교에 전면 노는 토요일이 시작됐다. 이미 격주로 노는 토요일을 시행하는 중이어서 겉으로 나타난 혼란은 없었다. 하지만 매주 한 번씩 다가오는 노는 토요일에 대한 가정의 부담은 크다. 주로 저소득층과 맞벌이 가정이 문제다. 정부는 토요 방과 후 학교, 토요 돌봄 교실, 토요 스포츠데이 등의 프로그램으로 가정의 부담을 줄이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별로 없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700만 명의 초'중'고등학생 중 이날 등교하거나 토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10%도 안 되는 61만여 명이었다. 정부는 앞으로 1천287억 원을 들여 특기 적성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반면 일부 학원은 30% 이상 토요일 수강생이 늘고, 금요일 밤부터 일요일 밤까지 2박 3일 동안의 단기 기숙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생을 끌어들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부터 주말반이나 단기 기숙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전면 노는 토요일이 사교육을 부추기는 셈이다. 이는 현 정부가 최고의 목표로 삼은 사교육 줄이기와도 맞지 않고, 자칫 모든 토요 프로그램이 무력화할 가능성도 크다.

교육열은 도미노와 비슷하다. 다들 학원을 보내는데 우리 아이만 안 보내면 학업에 뒤처진다는 조바심이 높아진다. 조기 교육 열풍도 여기서 비롯하는 것이다. 온갖 사교육이 판을 치는데,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는 방과 후 학교나 스포츠를 즐기는 토요 프로그램에 아이를 보내 놓고 마음 편한 학부모는 많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전면 노는 토요일에 대한 대책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 철저한 수요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 중인 프로그램을 활성화해 효율적인 노는 토요일이 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