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축소를 위한 정부의 은행권 대출 억제의 여파로 4~6등급의 중위권 신용자들이 캐피털이나 신용카드 등 여신전문회사로 몰리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금융회사의 기존 고객인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은 다시 대부업체나 사채시장으로 내몰리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부의 대책은 전무하다시피 해 서민 가계의 돈 가뭄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여신전문회사의 신규 대출 이용자 중 중상위 신용자의 비중은 53%로 2008년의 45%보다 크게 늘어났다. 반면 7등급 이하 저신용자 비중은 같은 기간 50%에서 40%로 줄었다. 여신전문회사에 중위권 신용자가 몰리면서 저신용자가 여신전문회사의 대출창구에서 쫓겨나고 있다는 얘기다. 이들 저신용자가 기댈 곳은 대부업체나 사채시장뿐이다.
이는 중위권 이하 신용자 모두에게 엄청난 이자 부담을 강요한다. 신용카드사와 캐피털의 대출 금리는 연 20% 중후반으로 은행권보다 두 배 이상 높다. 대부업체나 사채시장의 금리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은행의 건전성을 위한 가계대출 억제가 서민의 이자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정책금융이라도 확대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 정책금융을 확대한다고 떠벌리고 있지만 미소금융'햇살론'새희망홀씨 등 3대 서민금융 대출 실적은 지금까지 3조3천억 원에 그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액 60조 원의 5.5%에 지나지 않는다. 정책금융이 전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팔짱만 낀 채 바라만 보고 있다. 한마디로 무능하기 짝이 없다. 그러니 '친서민'인 체만 하는 반서민 정권이라는 소리를 듣는 게 아닌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