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건물 고압전선 고장 정전, 비상등도 없어 시민 큰 불편
3'1절인 1일 오후 3시 30분 대구도시철도 2호선 두류역 지하상가. 3m 앞의 사물도 제대로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암흑천지였다. 4, 5m 간격으로 벽에 설치된 비상등이 불을 밝히고 있었지만 어둠을 걷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곳 상인들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6분쯤 두류역 지하상가 전체가 정전됐다. 160여 개 점포 상인들은 촛불이나 손전등을 밝힌 채 개점휴업 상태로 자리를 지켰다.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아 장사는커녕 점포 앞에 내놓은 물건을 치우거나 문을 내릴 수도 없었다. 한 상인은 "5년간 장사를 하면서 이런 일은 처음이다. 정전 예고 방송도 듣지 못해 너무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찾은 시민들도 큰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지하상가 한 층 아래 두류역사에는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었지만 시민들은 대합실로 내려가거나 지상으로 빠져나가기 위해 더딘 걸음으로 어두컴컴한 통행로를 지나야 했다.
직장인 김민호(33'중구 대신동) 씨는 "도시철도에서 내려 지상으로 올라가는데 갑자기 정전이 됐다. 10여 년 전 대구 도시철도 참사 생각이 나면서 식은땀이 났다"고 말했다. 주부 이은주(35) 씨는 "다섯 살 딸과 함께 도시철도를 이용하려고 대합실로 내려가다가 몇 번이나 넘어질 뻔했다"며 "정전이 됐으면 비상등이라도 밝혀야 하는데 시민들이 많이 찾는 도시철도를 이렇게 부실하게 관리할 수 있느냐"고 불평했다.
도시철도 2호선 두류역 지하상가의 불은 2시간 30분가량 지난 후에야 들어왔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이번 정전은 인근 교보생명 건물의 고압 전선 설비가 고장나면서 전선을 공유하고 있는 주변 건물과 두류역 지하상가도 함께 정전이 된 것.
하지만 주변 건물과 교통신호등 등은 정전 1시간 만에 전기가 공급됐지만 지하상가는 그로부터 1시간 30분이 더 지나서야 복구가 됐다.
상인 김모(45) 씨는 "지하상가 관리사무소 담당 직원이 전기 설비의 작동 방법조차 제대로 모르고 있었다. 정전이 될 때나 전력이 복구된 다음에도 관리사무소 측은 아무런 안내도 없었다"고 화를 냈다.
이에 대해 두류역 지하상가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고압의 전력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하는 등 준비 시간이 좀 걸렸다. 정전의 정확한 경위를 파악해 상인들에게 설명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황희진기자 hh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