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더러운 세상에 날 던져놓은 엄마도 참 원망스러웠죠. 방법은 하나였죠. 엄마와 이 구질구질한 세상을 떠나버리는 것…. 숨이 막히지 않게 3분마다 가래를 빼내줘야 했어요. 아무것도 할 게 없었습니다. 그냥 가만히 앉아서 10분 동안 견디면 되는 거였습니다. 그때였습니다. 옆방에서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아름다운 음악이었죠. 정말입니다. 꿈인지 환상인지 모르겠는데 난 거기서 오케스트라를 봤습니다. 그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는 먼 훗날의 나도 봤습니다. 구원이었죠. 위로였고 힘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휘자가 되었습니다.(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대본 중에서)
'베토벤 바이러스'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음악을 통해 상처를 극복하고 꿈을 찾아가는 아름다운 이야기. 시향 첫 공연을 합창교향곡으로 택한 주인공 강마에(김명민 역)는 공연을 앞두고 3일 연속 쏟아진 폭우 때문에 어려움에 봉착한다. 합창단이 올 수 없다는 연락과 함께 공연 20분 전인데도 객석은 반도 차지 않는다. 수재민조차 이 상황에 공연은 말도 되지 않는다고 방해하고 그들과의 몸싸움 중에 강마에는 오른팔을 다친다.
강마에는 수재민 대표에게 아들을 데리고 있다며 빵 값 대신 공연을 보라고 제안한다. 교향곡은 시작되고, 화면으로 공연을 보는 수재민 대표의 회상을 통해 강마에의 과거가 선율과 함께 오버랩된다. 공연은 대성공으로 끝난다. 객석은 환호성으로 가득 차고 수재민 대표도 감동한다. 내 기억에는 이 드라마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다. 차가움과 따뜻함, 합리성과 무모함이 공존하는데다 괴팍스러움까지 갖춘 강마에의 아픈 과거가 이 부분에 나온다. 고통스러운 강마에의 상처가 드러나면서 그 상처를 이겨나간 계기가 바로 먼 훗날 지휘자가 된 자신을 만나는 체험이다.
이처럼 꿈은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게 만드는 만병통치약이다. 강마에가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었던 그 마음, 선생님인 내가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바로 그 마음, 드라마를 통해 나는 나를 들여다보았다. 언제나 부끄럽고 부족했던 나의 지난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쳤다. 왜 나는 하고 싶은 것을 다 하지 못했을까? 그때 그렇게 살지 못했을까? 어른이 되고, 가정을 이루고, 아이들이 태어나면서 오히려 그런 생각을 더 많이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이 흐르면서 난 깨달았다. 핑계를 만들기 위해 그렇게 생각한 것이라고. 이겨나갈 생각보다는 도피할 마음이 더욱 큰 것이었다고. 아마 그때 내 삶의 방향을 바꾸지 않았다면, 다시 새로운 꿈을 꾸지 않았다면 그런 마음으로 평생을 살았을 게다.
다시 꿈을 꾸기 시작하면서, 힘들지만 한 발자국씩 걸어가는 내가 대견하기 시작했다. 요즘은 어떤 장애가 와도 별로 흔들리지 않는다. 어차피 현재보다 더 나은 현재는 없다고 믿으니까. 내가 꾸는 이상향은 지금 내가 걷는 길에 충실한 데 있다는 것을 안다. 내가 걷는 길은 내가 꾸는 꿈을 걷는 길이다.
아직도 나는 확신하기 어렵다. 내 삶의 공연이 엉망으로 끝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먼 훗날의 일이다. 지금 내게 보이는 것은 내가 걸어가는 길의 풍경이다. 관객이 얼마 없어 힘이 나지 않더라도, 악기 상태가 안 좋더라도 나는 내 공연을 지휘할 것이다. 여전히 부끄러운 부분이 많지만, 내가 신이 아니기에 완벽할 순 없다. 다시, 봄이다. 시간은 어김없이 다음 계절로, 다음 시간으로 흐른다. 제발 내가 만드는 공연이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고, 그 행복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다면? 그것만이 현재 나의 꿈이다. 나는 '꿈'에 미쳤다.
한준희 대구시교육청 장학사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