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55%가 1,2인 가구

입력 2012-02-15 09:59:10

4년새 8%P 증가…60대 이상에 집중

우리나라 빈곤층의 절반 이상이 1, 2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가구유형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1인당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빈곤인구 중에서 1인 가구 구성원 비율은 23.6%, 2인 가구는 31.3%였다. 빈곤인구의 절반이 넘는 54.9%가 1, 2인 가구에 속했다.

2006년에는 전체 빈곤인구 중 1인 가구 구성원 비율이 16.6%였고, 2인 가구는 30.3%였다. 전체 빈곤인구에서 1, 2인 가구 구성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 46.9%에서 2010년 54.9%로 4년 새 8%p 증가한 것이다.

1, 2인 가구의 빈곤인구는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됐다. 2010년 기준 1인 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72%는 60대 이상이었다. 2인 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68.2%도 60대 이상의 고령자다.

1인 가구 중에는 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상대빈곤율이 빠르게 늘고 있다. 2006~2010년에 30대 1인 가구 빈곤율은 12.2%에서 16.4%로, 60대 이상 1인 가구 빈곤율도 65.9%에서 71.0%로 증가했다.

특히 2인 가구 중 20대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는 빈곤율이 4.8%에서 19.1%로 급증했다. 30대가 가구주인 가구도 빈곤율이 8.2%에서 9.1%로 상승했다.

2인 가구 가운데 두 세대가 함께 사는 2세대 가구인 한 부모 가구의 빈곤문제는 더 심각하다.

2세대 2인 가구 빈곤율은 2006년 24.49%에서 2010년 27.4%로 늘었다. 반면 1세대 2인 가구 빈곤율은 2010년에 12.98%로 한 부모 가구의 빈곤율보다 크게 낮았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