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총선 뻔해"…김종인 '2시간의 반란'

입력 2012-02-09 10:25:49

비대위 정책분과 회의장 박차고 나갔다가 돌아와

외부영입 비상대책위원에게는 새누리당의 쇄신 속도와 범위가 영 성에 차지 않는 모양이다. 비대위 시작부터 'MB 측근, 실세, 전직 지도부 용퇴'를 주장했던 김종인 비대위 정책쇄신분과위원장이 8일 "당분간 정책쇄신분과 회의를 주재하지 않겠다"고 회의장 밖으로 나갔다가 두 시간 만에 자신의 주장을 접는 해프닝을 벌였다.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던 이유는 "정책쇄신에 대한 당의 인식이 없다"는 것이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책쇄신분과 회의가 시작되자마자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으로부터 배척받은 점을 분명히 알고 정책을 논의해야 하는데 (새누리당은) 기본적으로 정책쇄신이 무엇인지 인식이 돼 있지 않다"며 "그렇게 되면 분과는 더 이상 할 게 없는데 앞으로 당분간 회의를 주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옛날 사고방식이나 옛날 한나라당처럼 하면 이번 총선에서 지난 4년간 이 대통령이 해온 것으로 평가받는다"며 "아무런 변화를 하지 못하고 같은 방향으로 가면 총선 결과는 뻔한 것 아니겠냐"고 했다.

최근 자신이 주장해 온 재벌개혁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조금만 기업에 제재가 갈 것 같으면 금방 경제가 무너질 듯 받아들인다. 그렇게 해서는 정말 아무 것도 못한다"고 했다. 이 말을 끝으로 김 위원장은 회의장 밖으로 나왔고, 기자들의 질문에 "당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본인 거취 표명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심사가 틀린 것은 여야가 내놓고 있는 각종 대기업 규제정책과 세제 개편 등에 대해 당 분위기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풀이다. 특히 공천 정국으로 접어들면서 정책 쇄신이 전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데 대한 화풀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박근혜 비대위원장도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지만 기대에는 못 미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회의가 끝난 뒤 이주영 정책위 의장은 "공천 문제가 본격 거론되는 시기까지는 분과에서 정책 문제를 더 다룰 필요가 있다는 비대위원들의 뜻을 전달했고 김 위원장도 이에 동의해 앞으로도 회의를 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2시간의 반란'은 그렇게 종결됐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