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정책분과 회의장 박차고 나갔다가 돌아와
외부영입 비상대책위원에게는 새누리당의 쇄신 속도와 범위가 영 성에 차지 않는 모양이다. 비대위 시작부터 'MB 측근, 실세, 전직 지도부 용퇴'를 주장했던 김종인 비대위 정책쇄신분과위원장이 8일 "당분간 정책쇄신분과 회의를 주재하지 않겠다"고 회의장 밖으로 나갔다가 두 시간 만에 자신의 주장을 접는 해프닝을 벌였다.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던 이유는 "정책쇄신에 대한 당의 인식이 없다"는 것이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책쇄신분과 회의가 시작되자마자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으로부터 배척받은 점을 분명히 알고 정책을 논의해야 하는데 (새누리당은) 기본적으로 정책쇄신이 무엇인지 인식이 돼 있지 않다"며 "그렇게 되면 분과는 더 이상 할 게 없는데 앞으로 당분간 회의를 주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옛날 사고방식이나 옛날 한나라당처럼 하면 이번 총선에서 지난 4년간 이 대통령이 해온 것으로 평가받는다"며 "아무런 변화를 하지 못하고 같은 방향으로 가면 총선 결과는 뻔한 것 아니겠냐"고 했다.
최근 자신이 주장해 온 재벌개혁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조금만 기업에 제재가 갈 것 같으면 금방 경제가 무너질 듯 받아들인다. 그렇게 해서는 정말 아무 것도 못한다"고 했다. 이 말을 끝으로 김 위원장은 회의장 밖으로 나왔고, 기자들의 질문에 "당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본인 거취 표명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심사가 틀린 것은 여야가 내놓고 있는 각종 대기업 규제정책과 세제 개편 등에 대해 당 분위기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풀이다. 특히 공천 정국으로 접어들면서 정책 쇄신이 전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데 대한 화풀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박근혜 비대위원장도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지만 기대에는 못 미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회의가 끝난 뒤 이주영 정책위 의장은 "공천 문제가 본격 거론되는 시기까지는 분과에서 정책 문제를 더 다룰 필요가 있다는 비대위원들의 뜻을 전달했고 김 위원장도 이에 동의해 앞으로도 회의를 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2시간의 반란'은 그렇게 종결됐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