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불자의 25%는 50대 이상
전체 신용불량자 중 50대 이상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은퇴 전후 연령대에 있는 이들로 사업 실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9일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워크아웃(채무조정)을 신청한 신용불량자 가운데 50세를 넘는 사람은 1만8천342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신청자 7만5천850명의 24.2%에 해당한다. 50~59세가 19.4%(1만4천700명), 60세 이상이 4.8%(3천642명)으로 4명 중 1명이 50대 이상인 셈이다.
특히 50~59세 신불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신용회복위원회가 설립된 2002년의 8.12%에서 10년 만에 19.4%로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60세 이상도 1.4%에서 4.8%로 증가했다. 신용회복위원회 관계자는 "교육비, 주거비 등으로 돈 쓸 곳은 많은데 직장을 잃거나 퇴직한 은퇴인구와 사업에 실패한 자영업자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0년간 신용불량자로 낙인찍힌 은퇴 인구는 16만7천 명을 넘어 50세 이상 인구의 1.2%를 차지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