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표 '행복 복지' 선언 "당에 엄청난 변화 있을것"

입력 2012-01-31 10:54:50

한나라당 새 정강정책 확정…보수 기조 유지하며 좌클릭

한나라당이 정책 쇄신을 공식 선언했다. 당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정강'정책의 개정을 통해서다. 방향은 보수 정당의 틀은 유지하되 중도'좌클릭 노선을 분명히 했다. '부자정당' '웰빙정당'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겠다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는 30일 '국민행복 국가'를 새로운 모토로 내세운 정강'정책 개정안을 확정했다. 명칭도 '국민과의 약속'으로 바꿨다. 국민 중심의 정치를 하겠다는 의지라는 게 한나라당의 설명이다. 한나라당은 개정안 전문에서 "오로지 국민만 바라보며 국민 행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약속한다"며 "뼈를 깎는 노력으로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정책정당, 국민정당, 전국정당으로 거듭 태어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본격적인 대선 행보를 앞둔 박 위원장의 복지'성장 전략 청사진이 반영된 '10대 약속 23개 정책'에서는 중도를 지향하는 내용들이 곳곳에 담겼다. 현 정부와의 정책적 차별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우선 1조에 '행복한 복지국가'를 지향점으로 내세웠다. '박근혜식 복지모델'인 평생맞춤형 복지를 한국형 복지모형으로 설정했다. 일자리(2조) 조항은 고용률을 경제정책의 핵심지표로 설정했다. 경제 민주화와 관련된 '공정한 시장경제'(3조) 조항은 "경제세력의 불공정 거래를 엄단해 공정한 경쟁풍토를 조성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공정경쟁과 동반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확대한다"고 기술했다.

교육(4조) 조항은 '교육의 수월성과 경쟁력 제고' 개념을 없애고 잠재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생 스스로의 생애진로 개발지원, 인성교육 확대를 강조했다. 외교(7조) 노선은 '실용주의'라는 용어를 없애고 '국익과 신뢰에 기반한 평화지향적 균형외교'로 바꾸었고, 통일(8조) 조항은 '유연한 대북정책'을 명문화했다.

박 위원장은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정강'정책 개정안을 기초로 해서 앞으로 우리 당에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당이 앞으로 국민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가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복지를 확대하고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경제민주화를 통해 공정경쟁의 틀을 확립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것은 변화의 출발점이자, 정책 전환의 큰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정강'정책 개정을 계기로 국민 행복 증진에 역량을 쏟아 달라고 당부했다.

정강'정책 개정안은 다음달 9일 상임전국위, 13일 전국위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박 위원장은 다음주부터는 '현장 행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현장의 진솔한 목소리를 듣고 그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