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한명숙號, 정권교체 '시동'
민주통합당을 지지하는 시민과 당원은 15일 한명숙 후보를 당 대표로 선택했다.
총선과 대선이 있는 2012년을 '점령'하기 위한 야전사령탑으로 한 신임대표가 가장 적합하다고 보고 민주통합당의 새 간판으로 세운 것이다.
그는 이명박 정권 들어 뇌물수수와 정치자금법 위반이라는 두 건의 재판을 동시에 받아 '가장 탄압받은 정치인'으로 손꼽힌다.
특히 두 사건의 1심과 2심에서 잇따라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정치검찰의 탄압을 이겨낸 산증인으로 조명받고 있다. 정권심판의 기수로 그만한 사람이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 신임대표는 대표 수락연설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승리의 역사를 써나가겠다"며 "정권교체를 통해 국민이 이기는 시대를 열겠다는 약속을 땀과 열정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정권교체의 첫 가늠대는 4·11 총선이다. 한 신임대표를 비롯한 새 지도부는 금주중 총선기획단을 발족하고 이달 안으로 공천심사위원회를 꾸리는 등 발빠르게 총선 총력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적 쇄신과 공천 혁명은 이를 위한 첫 관문이고 그 이후에도 야권후보 단일화라는 험로가 그 앞에 놓여 있다.
그는 "과감한 인적 쇄신으로 변화를 열망하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며 "환부가 있다면 어떤 고통이 따르더라도 청산하고 혁명적인 공천개혁을 반드시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려면 민주통합당 내 여러 통합주체 세력 간 갈등과 알력을 잡음 없이 조정하는 '조율사' 역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구(舊) 민주당 출신과 친노(親盧)·시민사회·노동계 세력이 한데 뭉친 민주통합당의 화학적 결합을 끌어내지 못하면 적절분열을 면치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당 관계자는 "한 후보는 다양한 세력의 지원을 받았고 특히 80만 시민의 직접 투표로 당선됐다"며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위해 양보와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적임자"라고 말했다.
특히 4·11 총선은 사상 첫 여야의 여성 수장간 맞대결이라는 점도 흥미로운 대목이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끄는 한나라당은 1996년 15대 총선에 버금가는 공천 물갈이로 디도스 사건, 돈봉투 사건 등 잇단 악재에 정면으로 부닥쳐 꺼져가는 당의 불씨를 살리려 할 것이라는 게 야권의 분석이다.
한 신임대표는 '민주 대 독재' 구도로 박 위원장과 맞결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합동연설회 때마다 "제가 독재와 싸우며 차디찬 감옥에 있을 때 그는 청와대에 있었다. 박근혜와 싸워 선명한 대결구도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바로 한명숙"이라고 거듭 강조해왔다.
대선 승리를 위해 야권 지지기반 확대의 주춧돌을 놓는 것도 한 신임대표가 해야 할 일이다.
특히 4월 총선에서 수도권 승리는 물론 관심지로 부상한 부산.경남(PK) 선거에서 교두보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다.
이를 위해선 승패의 향배를 가를 젊은 세대의 표심을 껴안을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정당체제를 구축하는 등 과감한 정당개혁과 정책 쇄신에 대한 기대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