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선거구획정' 논의 시작..대격돌 예고

입력 2011-12-27 19:30:18

정개특위 '선거구획정' 논의 시작..대격돌 예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는 27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어 최대 현안인 '선거구 획정'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지역구를 늘리거나 줄이는 선거구 획정은 국회의원들의 '생명줄'과 직결된 사안으로, 정개특위 위원들은 이날 첫 회의부터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선거구 획정위는 지난달 25일 '8개 지역구 분할, 5개 지역구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획정안을 마련해 정개특위에 보고한 바 있다.

합구 대상에 포함된 부산 남구 출신의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은 "헌법재판소가 표의 등가성 확보를 위해 선거구간 인구편차를 4:1에서 3:1로 조정해야 한다고 결정한 이후 11년이 지났다"며 "이제는 2.5:1로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2.5:1로 조정하면 합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경남 남해·하동 출신의 한나라당 여상규 의원은 "헌재의 결정은 3:1로 가야한다는 것이고 2.5:1로 조정해야 한다는 것은 헌재 결정에 반하는 것"이라고 맞섰다.

또 경북 상주 출신의 한나라당 성윤환 의원은 "인구가 밀집해있다며 서울의 지역구는 분리하고, 농촌 지역구는 없애야 한다면 논리적 비약"이라며 "서울·경기 지역은 국회의원을 가져가고, 지방은 없애버리겠다는 게 말이 되나"라고 주장했다.

특별자치시인 세종시를 독립선거구로 지정하는 문제도 '뜨거운 감자'였다.

자유선진당 김창수(대전 대덕) 의원은 "세종시가 충남 연기·공주와 충북 청원군으로 구성돼 지방선거에서는 세종시장과 교육감을, 총선에서는 충남 연기·공주 국회의원과 충북 청원 국회의원을 따로 뽑아야 하는 투표권 불일치 현상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백원우 의원은 "세종시가 독립선거구가 되지 않으면 내년 총선에서 광역자치단체인 세종시와 기초자치단체가 하나로 묶여있는 기형적인 형태가 된다"고 가세했다.

중앙선관위 이종우 사무총장은 "세종시를 독립선거구로 지정하는 문제에는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