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광주-목포 구간 기존노선 활용으로 확정
호남고속철도(KTX) 광주-목포 구간을 신설 노선으로 건설하지 않고 기존 열차노선을 활용하는 방안이 정부안으로 확정됐다.
박준영 전남지사가 신설노선으로 하지 않으면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강경방침까지 밝혔지만, 정부 방침을 바꾸는 데 결국 실패했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가 이날 KTX 광주-목포 구간 노선 변경에 관한 관계기관 협의 공문을 보내왔다.
이번 관계기관 협의는 지난 4월 발표된 정부의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이 구간을 신설하지 않고 기존 노선 활용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외견상 전남도의 의견을 묻는 것이지만 그동안 수차례 전남도가 신설노선을 요구했던 만큼 정부의 이번 통보는 전남도의 요구를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의 애초 기본계획은 광주-목포를 최단 직선 신설노선으로 연결하려고 했으나 전남도가 KTX의 무안공항 경유를 요구하면서 기본계획을 변경하는 작업이 추진됐다.
그러나 이후 나주·함평 지역주민들이 KTX 정차를 요구하자 정부가 신설노선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열차노선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현재 노선을 직선화하고 보완해 다른 열차들과 함께 KTX의 속도를 높여 운행이 가능하게 바꾸고 무안공항과 연결되는 지선도 건설하는 것을 포함했다.
정부는 이같은 방침을 지난 4월 이미 결정했으나 전남도가 강하게 반발하자 마지막 행정절차인 관계기관 협의만을 미뤄왔다.
관계기관 협의에서 전남도가 반대하더라도 요식행위나 마찬가지인 이 절차만 거치면 정부안대로 실시계획 설계에 들어가 즉시 착공할 수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관계기관 협의단계를 최종 단계로 볼 수 없다"며 "적극적으로 반대의견을 개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공염불'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5월 박 전남지사가 "소송을 통해서라도 기존 노선 활용안을 중지시키겠다"며 정부를 강하게 압박했지만 이마저도 무위로 돌아가 향후 전남도가 어떻게 대응할 지 주목된다.
또 정부안은 느린 속도로 '저속철'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는데다 기존 노선을 보완만 하는데 완공시기가 2017년에서 앞당겨지지 않은 점 등은 지역민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