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의 분석! 아파트] (50) 대구 수성구 황금동

입력 2011-12-15 14:13:19

가격 상승률 수성구 평균 이하…대형 많고 투기자금 적어

대구시 수성구 황금동은 범어동, 만촌동과 더불어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한 곳이다. 황금동의 가치는 교육에서 그 진가가 높게 나타난다. 인근에 학부모들이 선호하는 중'고교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범어공원이 인접해 있으며 주변에 녹지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도 장점이다.

황금동은 상대적으로 대형아파트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면적별로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이 18%, 60~85㎡가 41%, 85㎡ 이상의 대형이 차지하는 비율이 41%에 이른다. 황금동의 이 같은 대형아파트 비율(41%)은 대구 평균 21%에 비해 2배 수준이다. 반면 전용면적 60㎡ 미만은 대구 평균 39%보다 훨씬 낮다.

황금동은 올 들어 매매가격이 1.08% 오르는 데 그쳤다. 이는 대구 평균 7.13%와 수성구 평균 4.41%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전세가격도 8.37% 상승했는데, 이 역시 대구 평균 13.53%와 수성구 평균 13.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상승률이 낮게 나타난 것은 향후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아파트시장의 화두는 중소형의 강세가 높게 나타났고 외지인에 의한 가격의 왜곡이 많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황금동의 경우 그만큼 외지인으로부터 안전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외지인들의 경우 소형에 가격이 저렴한 단지를 중심으로 매입을 하면서 가격 상승을 시켰는데 황금동의 경우 가격적 측면에서 투기자금들이 쉽게 들어올 수 없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황금동의 가치는 3.3㎡당 가격에서 알 수 있다.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825만원이다. 대구 평균 571만원과 수성구 평균 701만원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559만원으로 대구 평균 398만원과 수성구 평균 475만원보다 높은 편이다. 매매가격 전세가격 모두 대구 및 수성구 평균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도 67.68%로 대구 평균 69.61%와 수성구 평균 80%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황금동의 경우 중소형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전체 평형에서 선호도가 높다는 것이다.

최근 수능시험이 쉬워지고 내신의 불리한 측면 등을 이유로 일각에서는 수성구 무용론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수성구 특히 황금동의 인기가 단기간 내 떨어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학군의 프리미엄이라는 것이 단순히 학교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학교는 물론 주변 교육인프라와 시너지 효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황금동 롯데화성캐슬골드파크 1단지

롯데화성캐슬골드파크 1단지는 2006년 8월 입주한 단지이다. 69.37㎡형 64가구, 82.66㎡형 82가구, 108.54㎡형 493가구, 138.31㎡형 215가구, 161.83㎡형 133가구, 193.25㎡형 36가구, 206.61㎡형 36가구 등 총 1천59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 난방방식이며, 난방연료는 도시가스이다.

이 단지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이후 전체 평형에서 전세가격은 조금씩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소형은 지난해 이후 전세가격의 상승세가 매매가격에 영향을 주면서 가격 상승세로 이어졌지만 대형은 보합세가 나타나고 있다.

가구 수가 가장 많은 108.54㎡형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와 최대의 입주물량이 겹치면서 매매와 전세가격 모두 저점을 찍었지만 2009년 가을이사 시즌 이후 전세가격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매매가격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일부 조정을 받기는 했지만 지난해 가을이사 시즌 이후 다시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시세기준으로 매매 상한가격은 3억2천만원, 하한가격은 2억4천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전세가격은 시세 상한가격 2억3천만원, 하한가격 2억원을 나타내고 있다. 실거래가 신고 금액도 시세 범위 안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77%로 황금동 평균보다 10%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다른 지역이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투기성 자금에 의해 전세가격 상승이 높게 나타났다면 이 단지는 수요층이 두터워 나타난 현상이어서 향후 가격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부동산114 대구경북 지사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