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의원 공천 탈락땐 불출마" 총선 물갈이폭 더욱 커질듯

입력 2011-12-15 10:46:03

한나라당 국회의원 전원은 19대 총선거 공천에서 탈락하면 불출마하자는 결의를 보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공천 탈락 후 탈당 선언도 불가해야 한다는 의견도 공론화되고 있다. 이 같은 논의가 확산될 경우 한나라당의 19대 총선 공천 물갈이 폭은 커지고, 정치권에 미치는 파장도 상당할 전망이다. 관계기사 3면

15일 오전 국회 본청 246호실에서 열린 한나라당 '쇄신 의원총회'에서 의원 122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천 불복 방지에 대해 의원들이 의견일치를 이루는 모양새를 보였다.

이두아 원내대변인은 쇄신 의총 중간 브리핑에서 "한나라당 의원 개개인의 뼈를 깎는 반성과 자성이 필요하다는 발언이 나왔고, 총선에서도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며 "현역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하더라도 출마를 하지 말자고 결의하자는 의견이 개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조원진 의원이 "친박계는 특히 공천에서 탈락하면 전원 불출마해야 한다"고 본인의 공천 탈락 후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조 의원이 주장한 친박계 선도 불출마론이 의원 전원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이날 쇄신 발언에 나선 의원들은 대부분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과 혁신을 위해 노력하자"며 "자기반성과 사죄의 발언도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쇄신파가 주장한 '재창당을 못박은 비상대책위 체제'는 숙지는 모양새다.

이날 의총 직후 열릴 상임전국위에서는 앞으로 구성될 비대위가 최고위원회의의 전권(全權)을 위임받아 행사할 수 있도록 당헌을 개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될 경우 비대위는 인사권과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또 비대위원장이나 비대위원의 경우 대통령 선거에 나서기 위해서는 선거 1년 6개월 전에 당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당헌을 고쳐 예외 조항을 만들 예정이다. 박근혜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더라도 대권에 도전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은 또한 재창당이 없는 한나라당 쇄신에 반대하며 탈당한 김성식, 정태근 의원의 탈당계도 수리하지 않기로 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탈당의사를 밝힌 2명 의원의 탈당계를 수리하지 않을 것"이라며 "본인이 단식을 해서라도 두 의원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쇄신파 의원들의 여진은 아직 남아 있다. 원희룡 의원은 "'재창당을 포함하는 쇄신'이나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이나 수식어 빼고 내용상 뭐가 달라졌느냐"며 "어제(14일 박근혜 쇄신파) 회동에 지나친 의미가 부여되고 박 전 대표가 만나준 데 대해 감읍하는 분위기로 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권영진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재창당 문제가 없어진 것은 아니고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에 그 의미가 담겼다"며 "(박 전 대표가) 당의 본질을 바꾸고 필요하면 당명을 바꾸는 것도 하겠다고 했기에 지나치게 기술적 문제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