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지역농업엔 대재앙…정부 나서야"

입력 2011-12-02 11:04:20

경북도·대경硏 대책 세미나

한미 FTA 발효 이후 대구경북 농축수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는 지역 피해농가를 위한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상북도와 대구경북연구원은 1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대구경북 농업의 영향과 대응과제'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대구경북연구원 유병규 박사는 한미 FTA 발효로 인한 지역 농축수산업 생산감소액을 재분석한 결과, 경북지역 생산액은 발효 후 15년차에 5천405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쇠고기 1천832억원, 돼지고기 746억원 등 축산업 분야 감소액(3천10억원)이 전체의 55.7%로 가장 심각하고, 다음으로 사과 914억원, 포도 567억원, 참외 194억원, 자두 162억원 등 과수 분야 감소액이 1천812억원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유 박사는 "경북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농민사관학교를 통해 인재를 키우고 융합기술 기반의 신농업 영역을 발굴해야 한다"며 "소비자 입맛에 맞고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도 생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세균 박사는 "한미 FTA 체결로 인한 국내 농축산업 생산감소액은 1조2천354억원으로 전체 피해의 90% 이상이 축산과 과수에서 발생한다"면서 "정부의 대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대책의 중복성과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기존 농업대책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북도 조무제 쌀산업'FTA대책과장은 "가장 피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축산업을 위해 미래형 친환경 축산허브 구축과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겠다"면서 "제도 및 재정기반 확충을 위해 8천억원의 추가지원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제 발표에 이어 열린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경북 농업 생존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경북도의회 이상용 농수산위원장은 "경북농축산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농어업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도의회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중앙에 건의한 내용들이 관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