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택담보대출 부실화 가능성 적어"

입력 2011-10-25 20:39:44

"한국 주택담보대출 부실화 가능성 적어"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5일 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 주최로 서울대 경영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한국의 주택담보대출은 급격한 금리상승이나 소득감소가 발생하지 않는 한 빠르게 부실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주택담보대출 부실가능성은?'을 주제로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등과 공동으로 분석한 발제문에서 "수도권과 우량신용등급군,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금융회사들이 거시적 관점에서의 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반면 제2금융권 대출과 복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늘어나는 등 미시적 관점에서는 차주의 금융부담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미시적 관점에서의 대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함을 경고했다.

김 교수는 "상환방식별로는 만기 일시상환방식이 분할상환방식보다 연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환방식을 급격하게 변경하면 부실 가능성이 커지므로 주택담보대출 구조개선은 점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부동산 가격지수 개발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박연우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통계청의 주택총조사 평균가격지수는 실시 빈도가 낮고 '부동산 114'등 민간기관에서 공급하는 평균가격지수는 유료이므로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새로운 부동산 가격지수 개발을 주문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