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을 떠나고 싶어하는 사람들'로 인해 각 기관단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지적(본지 29일자 8면 보도)과 관련, 군민들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입을 모았다.
고속도로, 공항, 철도 등이 없는 오지인 데다 의료, 교육 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산모들이 진찰을 위해 포항까지 가야 하는 불편 탓인지 젊은 층은 계속 줄고, 울진으로 근무하러 온 외지인마저 '언제 떠나나'하며 날짜만 손꼽아가며 기다린다.
주민 김모(49) 씨는 "나는 못 떠나도 교육을 위해 자식만큼은 외지로 보내야 한다"며 아들을 경주지역 명문고로 보냈다. 김 씨의 말은 상당수 주민들의 공통된 심정이고, 울진지역 최고 명문이라는 울진고등학교 교사들 역시 수긍한다.
울진원전 한 근무자는"의료, 교육 등의 인프라가 부족해 식구들을 데려올 수 없다. 이 때문에 많은 직원들이 울진을 떠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울진군 역시 '탈(脫) 울진'을 꿈꾸는 사람들의 불만을 알기에 줄기차게 '의료, 교육' 해결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문제는 돈이다. 그래서 신울진 1, 2호기를 받아들이는 대신 8개 대안사업(의료, 교육 등을 포함한 복지인프라 구축)을 정부가 추진해 줄 것을 요구했다.
울진군 새울진기획단 관계자는 "원전에 8개 대안사업 이행을 요구하면 원전은 '정부가 약속한 것을 우리한테 왜 그러냐'며 차일피일 미루기만 한다"면서"원전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그들이 주장하는 지역상생을 실천하고자 한다면 스스로 정부에 8개 대안사업을 요구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울진군은 원전 측이 직원들의 주소지를 울진으로 옮기는 '보여주기식 상생'에 앞서 진정 살기 좋은 울진을 만드는데 힘써주길 원하고 있다. 원전을 받아들이는 대신 받아낸 8개의 약속은 신울진 1, 2호기 공사가 시작됐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당연히 군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원전 1, 2호기 증기발생기 교체에 따른 저장시설 사용승인 반려 등을 비롯한 원전 측의 각종 사업에 울진군이 딴죽을 거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의료와 교육에 목마른 울진의 현실을 살펴보기 위해 정치인과 정부 각료들에게 이번 가을 '울진 여행'을 권하고 싶다.
울진'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