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화점 편익 위해 시민 불편 외면한 교통행정

입력 2011-08-19 10:56:29

현대백화점이 정식 개장에 앞서 '프리 오픈 데이' 행사를 열었다. 예상대로 일대는 교통대란이 일어나 평소에도 복잡한 도로가 마비되다시피 했다. 백화점 앞이 밀리면서 동쪽으로는 봉산육거리, 삼덕네거리까지 차량이 거북이걸음을 했다. 또 다소 한산했던 남산동 인쇄 골목과 북성로를 잇는 계산오거리 남북 도로도 꽉 막혔다. 차도'인도 구분이 되지 않는 약전골목 일대의 뒷길은 차량과 사람이 뒤엉켜 아예 움직이지 못할 정도였다.

그나마 행사일에 맞춰 경찰과 자원봉사자, 백화점 측 차량 계도 요원 수십 명이 버스 전용차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정리에 나섰지만 밀려드는 차량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백화점 쪽으로 유턴하는 차량이 계산오거리까지 밀릴 정도였다. 또 백화점에서 빠져나오는 차량과 택시가 뒤엉키면서 시민은 차량 사이를 이리저리 빠져나가 버스를 타야만 했다.

이번 사태는 충분히 예상한 것이다. 하지만 대구시는 교통 체증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몇 가지 안이 있었지만 근본 대책이 안 된다는 이유로 채택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대구시가 한 일은 반월당네거리와 계산오거리의 일부 구간에서 좌회전을 허용한 것뿐이다. 예측 행정은 고사하고 뒷북 행정조차 못 한 것이다.

일개 백화점 개점으로 대구가 교통 혼란을 겪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특히 이달 말에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대구에서 열린다. 현대백화점 앞 도로는 달서구'서구와 육상경기장을 잇는 가장 넓고, 빠른 도로다. 이대로 내버려두면 선수단과 외국 관광객, 관람객이 몰리는 대회 기간 중 예상되는 혼란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대구시가 아직도 상황을 봐가며 대책을 만들겠다는 안일한 생각이라면 백화점의 편익을 위해 시민 불편을 무시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