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내려도 동네기름값 상승

입력 2011-07-07 09:49:48

국제 유가는 떨어지는데 국내 기름값은 오르는 '기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7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 무연 보통휘발유의 전국 주유소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3.3원 오른 1천921.74원으로 3주 연속 상승했다. 자동차용 경유도 ℓ당 5.1원 오른 1천746.38원을 기록해 역시 3주 연속 올랐다.

이날 대구경북은 1천912.71원, 1천912.33원을 기록했다.

이와는 반대로 국내 휘발유 가격을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싱가포르 현물시장 국제 휘발유 가격(옥탄가 92)은 6월 한 달간 3.4%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경유(L/P 0.5%) 가격 역시 6월 둘째 주 배럴당 129.37달러에서 다섯째 주 120.89달러로 3주 연속 가격이 내렸다.

업계 관계자는 "국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1, 2주 시차를 두고 국내 가격에 반영되는 점을 감안할 때 6월 넷째 주나 다섯째 주부터는 국내 기름값이 떨어졌어야 했는데 오히려 올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유사들이 7일을 기해 '석유제품 100원 할인정책' 환원을 앞두고 가격을 올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유가의 특별한 상승 유인이 없는데도 기름값이 오른 것을 보면 정유사들이 정책 환원에 앞서 미리 가격을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유업계가 7일부터 단계적 석유제품 가격 환원 방침을 밝혀 소비자들의 기름값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그러나 업계에 따르면 가격 인하(100원 할인) 때와는 달리 주유소 기름값이 단번에 크게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고 소진과 주유소 간 경쟁으로 주유소들도 눈치를 봐야 하는데다 2008년 유류세 환원 조치 직후 서서히 가격이 오른 예도 있기에 일각에서는 '기름값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나오고 있는 것.

대구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공급가가 인상되기 전 재고분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가격을 당장 올리는 주유소는 많지 않을 것"이라며 "재고가 소진돼 오른 공급가격으로 기름을 받는 주유소들은 가격 인상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