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역할론'과 '젊은 대표론'이 제기되고 중진 역할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등 한나라당의 차기 당 지도부 구성 문제에서 혼선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친박, 대구경북 주자로서 대구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승민 의원(대구 동을)의 대표 출마설의 현실성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긍정론은 당의 변화와 개혁, 쇄신을 위해 유 의원 만한 주자가 없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 등이 있다는 이유로 그간 국회'당직에서 소외됐던 대구경북이 이번에 뭉치고, 친박계에서 교통정리가 되면, 쇄신풍을 타고 유승민 대표도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지난 지도부에서 부산의 서병수 의원이 최고위원이 된 것과 같은 케이스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 의원과 같은 친박계인 박종근 의원은 "변화와 개혁이라는 당내 의지가 분출하고 있고 이런 개혁 의지를 진척시키기 위해 유 의원 같은 젊은 세대가 나서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라고 했고, 이해봉 의원도 "본인의 뜻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유 의원같이 바른 정치관을 가진 정치인도 없다"고 했다.
문제는 현 시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당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가 어떻게 가닥을 잡을지, 친박계 내부의 교통정리가 이뤄질지 여부다. 경선 상위 득표자가 차례대로 대표와 최고위원이 되는 지금의 전당대회 방식이 유지되면 유 의원으로서는 대표에도 도전해보고 안 되더라도 최고위원 자리라도 노려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대표만 따로 선출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당내 소장파 의원들과 친이계 주류 측이 갈등을 빚는 상황에서 유 의원은 비주류로 분류된다. 또 친박계는 물론 소장파들의 지지도 끌어내야 한다. 벌써부터 비판론의 대상이 되고 있는 소장파'쇄신파 불신 세력들로부터 역공을 당할 수도 있다.
이런 논의의 대전제는 지난해 전당대회에서처럼 친박계에서 교통정리가 돼 유 의원을 대표주자로 내세워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소장파는 물론 중립파와 친이 진영으로부터 넘어오는 표까지 흡수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친이계인 주호영 의원은 "친박계가 전당대회에 대한 입장을 정하고 '우리가 내는 후보는 유승민'이라고 한다면 대표 가능성은 충분한 것 아니냐"고도 말했다. 친박계인 이한구 의원은 "당이 쇄신의지가 크다면 유 의원의 당선가능성은 커질 것"이라며 "유 의원이 최근 거론되는 소장파보다는 훨씬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